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 상장 당일 전체 ETF 중 최고수익률 기록
금융·증권
입력 2025-09-17 15:33:04
수정 2025-09-17 15:33:04
김효진 기자
0개
방산 매출∙수출 비중 높은 '진짜 방산 10종목' 엄선해 2배 추종…지정학적 이슈로 급상승
K원자력SMR도 상장 당일 1820만주 거래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전세계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고 각국이 국방비를 증액하는 가운데 K-방산에 대한 투자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다. 지난 16일 KODEX K방산TOP10 ETF가 4.9% 상승하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고, 방산 레버리지 ETF는 하루 만에 10%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16일 상장한 ‘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 ETF가 상장 당일 10.3% 수익률(한국거래소 기준)을 기록하며 전체 ETF 중 상장일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고 17일 밝혔다.
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는 KODEX K방산TOP10 지수의 일간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상품이다. '진짜 방산'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으로 실제 방산 매출 비중, 해외 수출 비중, AI 기술 접목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종목을 선정한다. 특히 K-방산의 성장을 이끌어가는 국내 대표 'BIG 4' 방산 업체인 한국항공우주(KAI),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에 약 160%(레버리지는 비중 2배)를 집중 투자한다.
'K-방산'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삼성자산운용은 방산 사업을 부수적으로 영위하는 기업이 아닌 방산 그 자체로 경쟁력을 입증하는 핵심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을 펼쳤다. 이는 지정학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산 테마의 특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따르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삼성자산운용은 기존 KODEX 반도체레버리지, KODEX 2차전지산업레버리지에 더해 이번 KODEX K방산TOP10레버리지를 출시하며 국내 테마 레버리지 ETF 라인업을 확장하고, 투자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특히 기존 국내 테마 레버리지 2종은 연초 이후 2042억원의 개인 순매수를 기록했으며, KODEX 반도체레버리지는 연초 이후 115% 성과를 기록하는 등 한국기업이 강점을 지니고 있는 반도체, 2차전지 등의 테마 지수를 2배로 추종하며 효율적인 투자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송아현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글로벌 지정학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위산업의 특성을 담아 설계한 결과 상장일 최고 수익률로 이어졌다"며 "지속적인 수주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환경 속에서 국내 방위산업 대표주에 2배로 투자하는 KODEX K방산TOP10 레버리지가 투자자들에게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같은날 상장한 KODEX K원자력SMR도 전체 ETF 중 상장일 역대 최대 거래량인 약 1820만주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우수한 유동성과 촘촘한 호가창을 증명했다. 해당 ETF는 AI 전력난의 대안으로 주목받는 SMR(소형모듈원자로)의 핵심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특히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두산에너빌리티, 현대건설, 비에이치아이 등 국내 핵심 수출 기업 15개 내외를 엄선해 국내 정책 영향은 최소화하고 글로벌 성장 모멘텀을 포착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광해광업공단, 광해방지사업 협력업체와 함께 “안전혁신 선포식”개최
- 2‘하이브리드·SUV·중형’ 3박자 갖춘 ‘액티언 하이브리드’
- 312일만에 멈춰선 코스피…FOMC 앞두고 '숨고르기'
- 4금융위, 제4인뱅 컨소시엄 4곳 모두 예비인가 '불허'
- 5금융권 "생산적 금융 위해 위험 기준 낮춰야"
- 6롯데카드, 해킹 피해 눈덩이…곧 대국민 사과
- 7HD현대, 계열사 합병 ‘착착’…해외 투자 유치 ‘속도’
- 8삼성물산 건설, ‘정비사업·해외수주’ 날개 달았다
- 9네이버웹툰-디즈니, 플랫폼 개발…네이버 택한 이유는
- 10포스코의 HMM 베팅…해운업계 ‘생태계 붕괴’ 우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