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바, 성남서 자율주행 충전로봇 실증…“충전소가 차를 찾는 시대”

경제·산업 입력 2025-09-22 17:27:27 수정 2025-09-22 17:27:27 이채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자율주행 충전로봇 파키, 자동차에 직접 다가가는 방식

[사진=에바]


[서울경제TV=이채우 인턴기자] 국토교통부는 2025년 스마트도시 규제샌드박스 공모사업으로 에바 컨소시엄이 신청한 ‘스마트 주소 기반 자율주행 전기차 충전로봇 인프라 스마트 실증사업 계획’을 승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에바는 경기도 성남시에서 20개월간 자율주행 충전로봇 서비스를 실증한다. 승인에는 '전기안전관리법'과 '한국전기설비규정' 등의 규제 특례가 포함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자율주행 로봇 기반 전기차 충전 서비스가 제도권 안에서 테스트된다.

에바가 선보이는 자율주행 충전로봇 ‘파키(PARKY)’는 기존 고정식 충전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발됐다. 자동차가 충전소로 가는 것이 아니라 충전기가 자동차에게 다가가는 방식이 핵심이다.

로봇은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탑재하고 있어 전력망 연결 없이도 충전이 가능하다. 주차된 차량 위치를 K-주소체계로 인식한 뒤, 이미지 센서·2D 라이다·초음파 센서를 활용해 스스로 이동하고 도킹해 충전한다.

충전 전 과정을 무인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폰으로 호출만 하면 된다. 특히 이번 실증은 K-주소 체계의 입체주소·실내주소를 기반으로 한 정밀한 위치 인식 서비스와 결합돼 도시 내 어디서든 끊김 없는 충전 경험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도시의 충전 인프라 혁신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ARKY는 에바가 창업 초기부터 연구해온 제품이다. 2023년 CES에서 스마트시티 및 로보틱스 등 2개 분야에서 연속으로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력을 입증했다.

PARKY는 높이 약 1.1m, 무게 250kg 이상으로 설계됐으며, 직관적인 디자인과 인터페이스를 갖춰 소비자 친화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스마트시티, 대형 상업시설, 공공주차장 등 다양한 도시 공간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해외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상용화에는 제도적 장벽이 남아 있다. 충전로봇의 ESS는 폐배터리를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행 규제에서는 이를 다시 인증받아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 부담이 크다.

이훈 에바 대표는 “기술 검증은 이미 끝났지만 규제 장벽 때문에 상용화 속도가 늦다”며 “정부의 인증 절차 간소화와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율주행 충전로봇은 충전소 부족 문제 해소, 주차공간 활용 효율 증대, 사용자 편의성 강화, 폐배터리 활용에 따른 ESG 효과 등 다양한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스마트시티와 결합하면 로봇이 공공주차장이나 대형 복합시설 주차장에 배치돼 도시 단위의 충전 인프라 혁신을 이끌 수 있다.

에바 관계자는 “이번 실증은 스마트주소체계와 자율주행 충전 기술을 결합한 세계 최초 수준의 사례”라며 “규제 개선이 병행된다면 글로벌 스마트시티 충전 인프라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에바는 성남시 스마트 실증사업을 시작으로 전국 주요 도시 확대와 일본·북미 진출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