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만 호재”…중소형證, 경영 효율화로 살길 모색
금융·증권
입력 2025-09-23 17:39:52
수정 2025-09-23 19:00:04
김효진 기자
0개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이 대형 증권사 위주로 진행되면서, 대형사와 중소형 증권사의 실적이 더욱 양극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소형 증권사는 신사업 확대보다 경영 효율화의 노선을 택하며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중소형 증권사가 경영효율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이 대형증권사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대형사와 중소형사의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어섭니다.
정부가 모험자본 활성화를 목적으로 인가 심사 중인 IMA, 발행어음 사업의 자기자본 요건은 각각 8조원, 4조원으로 자기자본이 높은 대형사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IPO 시 기관의 의무보유확약비율을 40%로 높인 정책도 중소형 증권사엔 부담입니다. 중소형 증권사는 대형사에 비해 실권주를 떠안을 여력이 부족해섭니다.
정책 탄력을 받지 못한 중소형 증권사들은 신사업 확대보단 경영효율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중소형 증권사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10일부터 일부 부서 직원 대상 권고사직을 진행중입니다.
iM증권은 지난해 점포 수를 21개에서 11개로 줄였습니다. 리테일 부문 인력도 20% 감축했습니다. 다만 흑자전환 후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등 영업 정상화를 위해 일부 인력을 늘리고 있습니다.
유안타증권은 점포 효율화를 진행 중입니다. 폐점 인력을 거점 점포로 이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증권사 규모별 격차는 ROA 지표로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증권사가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총자산이익률, ROA는 대형증권사가 1.6%, 중소형증권사가 1%로 대형사가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PF부실 여파를 떨쳐내지 못한 중소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신용등급 인하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조달 금리가 높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가시화…코인 거래소 판도 바뀌나
- “스타벅스 말고 올리브영”…상권의 ‘앵커’가 바뀌고 있다
- “벌점 42점 한 번에”…불성실공시법인 지정된 부실 상장사
- 하나금융, 5년간 100조 투입…금융 대전환 선봉에
- 10만전자·50만닉스 눈앞…투톱 시총 1000조 시대 여나
- 원자력 르네상스 온다…한화운용 원자력 ETF 수혜 전망
- [부고] 선창훈(한양증권 자본시장1부 상무)씨 부친상
- 코아스, 부실기업만 골라 출자? 수상한 투자 행보
- 케이쓰리아이, '재팬 IT 위크' 참가…글로벌 시장 공략 본격화
- 대진첨단소재, 37년 경력 전문가 '김기범 신임 대표이사' 선임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G이노텍 문혁수 대표, 카이스트 리더십 특강 성료
- 2명륜진사갈비, 가맹점주와 전국 기부릴레이 행렬
- 3바이낸스 고팍스 인수 가시화…코인 거래소 판도 바뀌나
- 4카톡은 SNS로, 스레드·X는 메시지로…경계가 사라진다
- 5내주 3439공급…"지방 위주 공급"
- 6'소비쿠폰 효과'에 취업자 31만2000명↑…청년·건설업은 부진
- 7"맛∙감성∙편의 잡았다"…간편식이 바꾸는 캠핑 밥상
- 8‘설렘 터지는’ 2025 쓱데이, 오는 30일 개막
- 9남원 하늘에 띄운 미래…남원국제드론제전 주말 열기 '최고조'
- 10김한종 장성군수 "가을의 절정, 황룡강 가을꽃축제 방문 환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