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처, 향후 5년 잠재성장률 ‘1%대’ 전망…노동·자본 기여도 둔화
경제·산업
입력 2025-10-07 08:23:45
수정 2025-10-07 08:37:40
이혜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앞으로 5년 동안 우리나라의 연평균 잠재성장률이 1%대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구조 변화, 투자 부진 등이 성장세를 제약할 것으로 분석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7일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2025∼2029년 연평균 잠재성장률을 1.8%로 제시했다. 이는 직전 5년(2020∼2024년) 평균치인 2.1%보다 0.3%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연도별로는 잠재성장률이 올해 1.9%에서 시작해 2026년부터 4년간 1.8%로 완만히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요인별로 보면, 노동의 잠재성장률 기여도는 향후 5년간 연평균 -0.1%포인트로 추정됐다. 고령화 심화와 출산율 하락이 노동 공급을 줄이며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자본의 기여도 역시 같은 기간 연평균 0.8%포인트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직전 5년 대비 0.4%포인트 감소한 수치로,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부진의 영향이 이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예정처는 2025∼2029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연평균 1.8%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실질 성장률은 초반에는 잠재성장률을 다소 웃돌다가, 점차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수렴할 것으로 전망됐다.
잠재성장률은 한 국가가 물가 상승 압력 없이 노동과 자본 등 생산요소를 최대한 활용해 달성할 수 있는 ‘가능 성장률’을 뜻한다.
이재명 정부는 인공지능(AI) 산업 집중 투자를 통해 임기 내 잠재성장률 3%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예산정책처는 “우리 경제의 성숙도가 높아지면서 노동 투입과 자본 축적만으로는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며 “AI와 신산업, 연구개발(R&D) 분야에 대한 기업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세제·금융 등에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L, 로봇 시험·인증 인프라 확대…'국산 로봇 경쟁력 강화' 앞장
- 추석 연휴 이틀째 오전 고속도로 곳곳 정체…오후 6시 절정 전망
- 포천이 주목한 한국 여성 리더…네이버 최수연 8위·카카오 정신아 24위
- 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시청률 8.9%…역대 최고 기록
- 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조선 시장 판도 변화 예고
- 배 안 타도 ‘도서산간 요금’?…공정위, 13개 쇼핑몰 시정 조치
- 여야, 국회 운영 룰까지 충돌…필리버스터·특검법 잇단 개정 추진
- “올해 건축 착공, 2009년 이후 최저 수준…경기 침체 여파 여전”
- 강경화 주미대사 “실용외교의 중심은 한미동맹…더 굳건히 발전시킬 것”
- 테슬라, 신차 출시 영상 공개에 주가 5% 급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TL, 로봇 시험·인증 인프라 확대…'국산 로봇 경쟁력 강화' 앞장
- 2추석 연휴 이틀째 오전 고속도로 곳곳 정체…오후 6시 절정 전망
- 3포천이 주목한 한국 여성 리더…네이버 최수연 8위·카카오 정신아 24위
- 4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시청률 8.9%…역대 최고 기록
- 5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조선 시장 판도 변화 예고
- 6배 안 타도 ‘도서산간 요금’?…공정위, 13개 쇼핑몰 시정 조치
- 7여야, 국회 운영 룰까지 충돌…필리버스터·특검법 잇단 개정 추진
- 8“올해 건축 착공, 2009년 이후 최저 수준…경기 침체 여파 여전”
- 9강경화 주미대사 “실용외교의 중심은 한미동맹…더 굳건히 발전시킬 것”
- 10테슬라, 신차 출시 영상 공개에 주가 5% 급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