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車운반선 입항료 인상…K해운·차업계 ‘직격탄’
경제·산업
입력 2025-10-13 17:30:26
수정 2025-10-13 17:55:23
이지영 기자
0개

[앵커]
미국이 내일(14일)부터 중국산을 포함한 외국 건조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대상이 중국뿐 아니라 한국 조선소에서 만든 선박까지 포함돼 우리 해운업계는 물론 자동차 산업의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내일부터 외국 조선소에서 건조한 자동차 운반선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기준은 순톤수 1톤당 46달러입니다.
당초 자동차 1대 기준(CEU)으로 150달러를 부과하겠다고 했던 걸 14달러로 낮췄다가, 다시 3배 넘게 올린 겁니다.
여기에 미국 정부는 자동차 운반선 수수료 부과 대상을 중국으로 한정하지 않고 외국에서 건조한 모든 선박으로 확대했습니다.
중국산 선박뿐만 아니라 한국 조선소에서 만든 선박도 적용된다는 뜻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 최대 자동차 운반선사인 현대글로비스도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현대글로비스는 총 96척의 자동차 운반선을 운영 중인데, 이 중 30척 이상이 미국 항로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7000CEU급 선박 기준으로 한 번 미국 항만에 들어갈 때 약 12억7000만원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미국 정부가 연 5회까지만 수수료를 매기겠다고 했지만 선박 1척당 약 64억원의 비용이 발생하는 셈입니다.
미중 무역전쟁이 재점화하면서 한국은 양국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될 우려가 커졌습니다.
한국은 이미 미국 수출 차량에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데, 여기에 물류비까지 더해져 자동차 수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장 중국도 내일부터 미국 선박에 t(톤)당 400위안(약 8만 원)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고 희토류 수출 규제를 강화하며 맞대응에 나섰습니다.
미중 갈등이 심화하면서 한국 해운과 자동차 산업의 우려가 커지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G전자, 전장·가전 덕…3분기 실적 ‘선방’
- 윈도우10 기술 지원 종료…먹통 사태 반복될까
- 콜마비앤에이치, ‘각자대표 체제’ 논의…새국면 맞나
- 정의선 회장 취임 5년…위기 속 글로벌 ‘빅3’ 성장
- 재계 ‘APEC 성공’ 총력…“최태원은 중국, LG는 홍보전”
- 동국제약, 마이핏 다이어트 라인 ‘애프터 추석’ 프로모션 진행
- 에스티젠바이오, BIX 2025 참가…글로벌 경쟁력 알린다
- 마포 3D프린팅혁신성장센터, 세 번째 '네트워킹 데이' 개최
- 한국 퍼스널컬러 전문기업 '오콜로르', 영문 교재 출간
- 수도권 매매시장 상승 속 평촌 강세 뚜렷…‘평촌 롯데캐슬 르씨엘’ 주목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2‘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3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4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5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 6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7고려대안산병원 서보경 교수, 유럽유방영상의학회 최다 인용 논문상 수상
- 8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9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 10한탄강·광릉숲, 유네스코 협력 논의…국제포럼 포천서 개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