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성과연동 주식보상, 자사주 소각 회피용 아냐"

경제·산업 입력 2025-10-17 08:38:03 수정 2025-10-17 08:38:36 김혜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삼성전자]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삼성전자가 최근 발표한 ‘성과연동 주식보상(PSU)’ 제도와 관련해 노동조합의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자 반박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새로 도입하기로 한 성과급 제도 '성과연동 주식보상(PSU)'을 두고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의혹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노동조합의 근거 없는 주장을 일축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16일 오후 사내 게시판을 통해 "PSU 제도를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했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공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 발표 직후, 향후 3년간 주가 상승 폭에 따라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PSU 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삼성전자가 보유 중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지급하는 보상 정책을 마련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현재 정치권에서 추진하고 있는 3차 상법 개정안은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한편 임직원 보상 등의 예외는 허용하고 있는데 삼성전자가 이를 이용하기 위해 PSU 제도를 도입했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임직원 주식 보상을 위해 신주를 발행해 기존 주주지분 가치를 희석할 수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전혀 사실이 아닌 근거 없는 주장이라는 입장이다.

삼성전자는 과거 공시 사실을 언급하며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2024년 11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총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했고, 이 중 8조4,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 목적으로, 1조6,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이미 공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매입한 1조6,000억 원의 자사주는 직원 자사주 지급과 초과이익성과급(OPI) 주식보상 등의 재원으로 활용 중"이라며 "2027년까지 소진될 예정이므로 2028년 이후 지급될 PSU 자사주는 향후 추가로 매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새로 도입하기로 한 성과급 제도는 주가 상승에 따른 보상 규모를 확대해 임직원과 회사의 성장 가치를 공유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또 소각 목적으로 매입한 8조 원 규모 자사주 중 3조 원 규모 자사주는 이미 소각을 완료했다. 남은 5조4,000억 원 규모 자사주도 적절한 시점에 소각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혜영 기자

jjss1234567@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