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 급등에 주담대 다시 6%대…2년 만에 최고 수준

경제·산업 입력 2025-11-16 08:27:12 수정 2025-11-16 08:27:12 이혜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사진=뉴스1]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최근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은행권 대출금리가 약 2년 만에 다시 6%대에 진입했다. 부동산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은행권의 대출 문도 사실상 더욱 좁아지는 분위기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지난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 금리는 연 3.930∼6.060%로 나타났다. 4대 은행 혼합형 금리가 6%대를 기록한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두 달 반 전인 8월 말(연 3.460∼5.546%)과 비교하면 금리 상단은 0.514%포인트(p), 하단은 0.470%p 각각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0.563%p 뛰어오른 영향이 크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 만기)도 연 3.520∼4.990%에서 최근 3.790∼5.250%로 상하단이 각각 0.260∼0.270%p 상승했다. 지표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338%p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연 3.770∼5.768%) 역시 금리 상단이 같은 기간 0.263%p 높아졌다. 지표금리 코픽스가 0.01%p 오르는데 그쳤지만, 부동산 및 가계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은행들이 자체적으로 금리 인상 폭을 확대해 적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수개월간 대출금리가 뛰는 현상은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며 시장금리가 상승한 것이 직접적인 배경이다.

특히 지난 12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외신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 여부와 시기는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 있다”고 밝히자, 시장에서는 금리인하 중단 또는 추가 인상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서울 채권시장에서 1년물을 제외한 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집값과 환율 불안까지 겹치며 이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당분간 불투명해졌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 상승과 연동된 대출금리 상승세, 가계대출 한도 축소 현상은 최소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구조상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액 추정치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들게 된다.

KB국민은행은 17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주기·혼합형 금리를 지표금리(5년물 금융채) 상승분 0.09%p만큼 추가 인상한다. 이에 따라 해당 상품 금리는 4.11∼5.51%로 조정될 예정이다. KB뿐 아니라 시장금리를 주 단위·일 단위로 반영하는 시중은행들도 잇달아 주담대 금리를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혜연 기자

hy2ee@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