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새 아파트값 평균 14억 육박…"높은 청약률, 프리미엄으로 연결"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아파트 분양시장이 곳곳에서 활황인 가운데, 입주 1~5년된 새 아파트가 시장을 이끄는 모습이다.
4일 부동산114가 서울 아파트의 연식에 따른 가구 당 평균 매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입주 5년 이내 신축이 14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10년을 초과한 구축이 9억원 수준에 시세가 형성된 점을 고려하면 연식에 따라 평균적으로 5억원 수준의 높은 가격차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신축아파트의 고공행진 배후에는 전통의 강자인 강남권과 신흥 강자인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과 종로, 동작 등이 가세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이 중 서초구 신축아파트의 가구 당 평균가격이 25억7,28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최근 2~3년 사이 재건축을 통해 반포동과 잠원동 일대 구축아파트가 새 아파트 단지들로 속속 탈바꿈하면서 강남권 전체의 시세를 리드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강남(23억1,464만원) △용산(18억3,651만원) △송파(15억9,804만원) △종로(15억6,788만원) △동작(13억7,394만원) △성동(13억5,960만원) △마포(13억1,516만원) △강동(12억6,901만원) 등 순으로 나타났다.
마용성의 대표주자 격인 용산은 신축아파트 가격이 송파를 뛰어 넘었으며, 경희궁자이의 입주로 주목받은 종로나 흑석뉴타운 일대 신축아파트 입주가 이어지는 동작도 눈에 띄는 약진이 확인된다. 이 외에 신축아파트가 10억 원을 넘어선 지역은 양천, 중구, 영등포, 서대문, 강서, 광진 등이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와 전매제한 시행 등을 앞두고 서울과 수도권에서 100대 1을 넘는 높은 청약경쟁률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면서 “이들 단지는 2~3년 뒤 입주시점에는 지역 내 가격상승을 이끄는 주체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초 분양가가 주변시세보다 낮게 형성돼도 입주 시점에는 주변 기존아파트를 뛰어넘는 프리미엄 단지로 바뀌는 것”이라며 “당분간 수요자의 분양시장 쏠림이 계속될 예정이므로 신축아파트에 대한 선호로 자연스럽게 연결될 전망이다”라고 말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날로 진화하는 무역사기에…범정부기관 예방·대응 속도
- 포스코, 5년간 1만5000명 채용…그룹사 공채 확대
- KODA, 롬바드 파이낸스와 한국 기관 대상 비트코인 수익 상품 협력 추진
- 시하기획, 콘텐츠 기반 고용 창출 성과로 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 스포츠관광마케팅협회, WWF와 서울어스마라톤대회 개최
- CJ푸드빌, 서울중부경찰서와 ‘치매 극복의 날’ 기념 봉사 진행
- 11번가, 신한은행과 전략적 제휴...특화 금융상품 등 혜택 강화
- 현대백화점, 글로벌 패션 브랜드 ‘에이프’ 독점 판권 계약
- [속보] 삼성전자 "향후 5년간 6만명 신규 채용"
- 핌즈, 물류센터 특화 물류로봇 솔루션 개발 ‘물류로봇연구소’ 개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날로 진화하는 무역사기에…범정부기관 예방·대응 속도
- 2포스코, 5년간 1만5000명 채용…그룹사 공채 확대
- 3목포시의회, 의회 공무국외연수 예산 전액 반납
- 4고흥군, 고향사랑기부금 10억 원 돌파…답례품 효과 '톡톡'
- 5KODA, 롬바드 파이낸스와 한국 기관 대상 비트코인 수익 상품 협력 추진
- 6보성군,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소득 상위 10% 제외
- 7시하기획, 콘텐츠 기반 고용 창출 성과로 고용노동부장관상 수상
- 8남원 사회적경제, 추석 맞아 특산물 선물세트 50여 종 선봬
- 9아이들의 꿈, 원주의 미래로…교육복지 혁신사업 전국 모델로 확산 기대
- 10우리은행 '청년 금융교육' 서울에서 지방으로 확대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