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AI로 흙막이 안정성 확보 기술 개발
데이터화된 균열 이력따라 위험 발생 경고·사전 대처 가능

[서울경제TV=정훈규기자] 롯데건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인근 건물·도로 등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흙막이 가시설 배면부 균열 추적 시스템’을 개발하고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3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지하 굴착시 땅이 무너지거나 지하수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가시설을 설치한다. 이 시설은 배면부의 침하와 균열 등으로 붕괴가 발생하기도 한다. 안전 관리는 몇 개소에 설치한 전자식 계측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흙막이 가시설 배면부에 나타난 침하와 균열의 진전에 대한 모니터링은 거의 수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이로 인해 발생한 침하나 균열은 지반함몰 등의 큰 재해가 발생한 이후에 육안으로 문제 발생 상황을 파악하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롯데건설은 업계 최초로 AI기반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이 시스템을 개발했다. 흙막이 가시설 배면부의 도로 노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딥러닝(심층학습) 방식으로 분석해 관리자에게 위험 경보를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향후 전문 IT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롯데건설 전 현장에 적용할 예정이다.
흙막이 가시설 배면부 균열 추적 시스템은 건설현장 근로자가 개인 촬영 장치(액션캠, 휴대폰 카메라 등)로 현장 영상을 취득해 플랫폼에 등록하면 AI 모델이 영상 분석 및 균열 정보를 가시화하며, 추출한 균열 정보는 이력 관리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균열 진행 상태 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롯데건설은 흙막이 가시설 현장의 배면에서 약 3,000장의 고해상도 균열 영상 자료를 확보하고, AI 모델 학습에 활용해 해당 시스템의 핵심 기초기술을 완성했다.
이 시스템 도입으로 균열의 진행 상태를 줄자로 측정해 관리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으며, 데이터화된 균열 이력에 따라 위험 발생 경고 및 사전 대처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의 AI 기반 기술은 전문 IT 업체에게 필요한 자료 수집부터 AI 모델 개발 및 적용까지의 모든 과정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전문 IT 기업의 경우 건설현장의 특수성을 이해하기 힘들어 건설사의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롯데건설은 2022년 상반기부터 AI 기술 개발 인력을 직접 충원해 건설현장에 필요한 AI 모델을 자체 개발했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오랜 기술 안전관리 경험과 더불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 기술의 자체 개발을 접목한 해당 기술은 실제 현장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롯데건설은 이에 그치지 않고 자체 보유한 기술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DT 기술을 현장에 적용해 공사 시간 단축 및 공사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속해서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아, 英 '퓨처 오브 더 카 서밋' 참가…이동약자 위한 PBV 보급 목표
- SKT"유심 재설정 첫날 2만3000명 이용"
- 한전, 1분기 영업익 3.8조…전년比 188.9%↑
- 두산그룹, 피지컬 AI 분야 본격 진출…지주 부문에 PAI랩 신설
- 광학식 모션캡쳐 설루션 ‘XEROmotion’, KOBA 2025서 첫 공개
- 손자 사망 급발진 소송서 운전자 패소…법원 “페달 오조작”
- 마인즈그라운드, DX KOREA 2026 공식 주관사로 선정
- 스마틱스 ‘올댓트래블’ 참가…체험형 부스로 스마트 예약 기술 공개
- 고려아연, 국내 유일의 전략광물 ‘공급망 생산기지’ 도약
- 동탄도시철도·GTX-C 수혜 기대…‘오산 세교 아테라’ 6월 분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아, 英 '퓨처 오브 더 카 서밋' 참가…이동약자 위한 PBV 보급 목표
- 2SKT"유심 재설정 첫날 2만3000명 이용"
- 3젊은 고혈압, 30%만 인지… 스마트기기 이용하면 혈압 관리에 도움
- 4한전, 1분기 영업익 3.8조…전년比 188.9%↑
- 5두산그룹, 피지컬 AI 분야 본격 진출…지주 부문에 PAI랩 신설
- 6광학식 모션캡쳐 설루션 ‘XEROmotion’, KOBA 2025서 첫 공개
- 7손자 사망 급발진 소송서 운전자 패소…법원 “페달 오조작”
- 8키스트론 “코스닥 상장 통해 글로벌 비철 금속 메이커로 성장”
- 9광주 동구, 예술약방 협업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운영
- 10스튜디오삼익, 1분기 영업익 12억…전년비 3.6%↑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