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서 여당 민 금융노조 현실 정책선 엇박자

증권·금융 입력 2018-06-15 16:33:00 수정 2018-06-15 16:33:00 정훈규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6.13 지방선거에 압승하면서, 여당의 선거를 지원해온 금융노조에도 힘이 실릴 것이란 관측이 우세합니다. 금융노조는 지난 대선 때 성과연봉제 폐지를 공약한 당시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이후 여러 이념적 문제에서 여권과 힘을 합치고 있는데요. 정작 업계 생존과 직결된 금융정책에는 반대 목소리를 내면서도 어색한 동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6.13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면서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금융노조도 함께 웃고 있습니다. 금융노조는 지난 대선부터 이번 지방선거까지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의 선거를 지원해 왔습니다. 19대 대통령 선거 때는 당시 문재인 후보를 적극 지원했고, 6.13 지방선거에서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와 이재명 경기도지사 후보, 김경수 경남도지사 후보 등 여권 후보들에 지지를 선언하고 정책협약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선거 결과 금융노조가 지지한 대부분의 여당 후보가 당선에 성공해, 이들이 앞으로 금융노조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노조는 문재인 정부 들어 여권과 금융사 공공성 회복과 민주화 등 다소 이념적인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왔습니다. 지난달 노동이사제 도입을 추진하는 공동투쟁본부 출범 행사 등 최근 금융권 노조 행사에는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참석해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묘하게도 금융사 수익과 고용 문제 등 보다 현실적인 정책에서는 엇박자가 나고 있습니다. 현재 여당의 금융 상징인 포용적 금융은 연체채권 소각, 카드수수료 인하 등 금융사 수익 악화와 직결돼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박원순 서울시장과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당선되면서, 지자체 간편페이를 통한 카드수수료 제로화는 현실화를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또 더불어 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카드수수료 인하를 공약했습니다. 이는 금융노조가 사무금융노조와 함께 구성한 공동투쟁본부에서 생존을 위협받는다며 반대를 외쳤던 부분입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cargo29@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