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대출 겨냥한 당국…저축은행 “중금리 상품까지 위축”

증권·금융 입력 2018-06-28 16:47:00 수정 2018-06-28 16:47:00 이아라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금융당국이 고금리 대출을 막겠다고 저축은행에도 칼을 빼 들었습니다. 업계는 이렇게 되면 자연스레 우량고객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합니다. 저신용자들은 제도권 금융 이용이 더 어려워지는 겁니다. 이아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금융당국이 시중은행에 이어 저축은행 고금리 대출에 대해서도 고삐를 바짝 죄고 나왔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저축은행들의 실적을 인정해주는 중금리 대출 인정 범위를 대폭 줄였습니다. 이름만 중금리인 고금리 대출 상품을 방지하기 위해 중금리 대출의 금리 상한을 20% 미만으로, 가중평균 금리는 16.5% 이하로 설정했습니다. 또 신용등급 4등급 이하 차주에게 70% 이상 취급된 대출만 중금리 상품으로 인정합니다.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의 가계신용 대출금리 현황을 월별, 분기별로 공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고금리 대출이 많은 저축은행의 실명을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식입니다. 저축은행들은 은행권의 대출금리 조작 사태로 이자 수익 자체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부정적인 상황에서, 금리로 줄을 세운다는 게 큰 부담입니다. 이자 놀음을 한다는 낙인을 피하려면 금리를 낮출 수밖에 없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저축은행의 중금리 상품도 우량 고객에 집중될 수밖에 없습니다. 통상 4~10등급을 중신용자로 보지만, 이 중에서도 8, 9, 10등급은 제도권 중금리 대출 혜택을 보기 어려워집니다. 그러나 당국은 강제 사항이 아니라며, 이 같은 부작용 가능성을 외면했습니다. [인터뷰] 금융당국 관계자 “그건 정책 당국이 정하는 내용이지, 그걸 꼭 준수하라고 하는 게 아니라니까요. 그런 페이버(가점)를 주겠다는 거지.” 저신용자들이 사금융으로 내몰릴 경우에 대한 대비책을 물어봤지만, “이번 감독규정 개정은 중금리 대출에 대한 것이고, 그렇게까지 보는 건 지나치게 넓은 시각”이라며 답을 피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