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술혁신·신시장 개척”… 통상환경 악화 정면돌파

전국 입력 2018-07-16 16:33:00 수정 2018-07-16 16:33:00 정창신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정부가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와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 글로벌 통상환경이 악화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도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술혁신과 수출 다변화에서 답을 찾는 등 글로벌 통상위기를 정면돌파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 보도에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기술혁신과 신시장 개척에 속도를 냅니다. 오늘(16일) 김현종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통상교섭민간자문위원회를 열고 미국의 수입차 관세부과 등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김 본부장은 “업계와 머리를 맞대고 기술혁신, 신시장 개척의 계기로 활용하면서 통상환경 악화를 정면 돌파해 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술혁신으로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신시장을 개척해 수출 다변화에 나서야 언제든 닥칠 통상위기를 헤쳐 나갈 수 있다고 판단한 겁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아세안 국가 등과 국가별 특성에 맞게 협력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우선 IT강국인 인도와 4차 산업혁명 시대 공동 대응에 나섭니다. 인공지능, 전기차, 헬스케어 등 협력 거점을 만들고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도 진출할 수 있도록 뉴델리에 혁신협력센터를 설립할 예정입니다. 베트남과는 태스크(TASK) 센터를 만들어 현지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이 센터엔 기술자문, 전문 기술인력 등이 파견돼 제조업 역량을 높이는데 힘을 보태게 됩니다.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인건비는 한국의 40%에 불과해 섬유, 기계, 전기전자 등 분야에서 협력이 가능합니다. 미얀마엔 경제협력 산업단지가 조성됩니다. 미얀마 양곤 북부에 들어설 예정인 이곳엔 스마트 공장, 스마트 시티 등 시범사업이 추진됩니다. 또 미얀마 상무부 내에 한국기업 전용 지원센터인 코리아데스크를 설치해 현지 한국기업을 지원하는 창구로 활용한다는 복안입니다. 이밖에 인도네시아와는 석유화학, 철강 등 기간산업 협력을 강화하고 말레이시아와는 이슬람 음식인 할랄시장 진출을 위해 협력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csjung@sedaily.com [영상편집 소혜영]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정창신 기자

csjung@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