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앤알바이오팹, 3D 프린팅 기반 세포배양체 제조법 특허 등록
3D 바이오프린팅 전문 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이 통합형 3차원 세포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세포 배양체 제조 방법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특허기술은 3D 세포 프린팅 방식을 통해 다공성 3차원 구조체와 진피·표피세포 등 피부구성 세포를 프린팅하는 기술로 ‘생체 외 피부모델’ 즉 인공피부를 제작하는 기법이다.
비교적 두꺼운 진피층 제작을 위한 토출형 프린팅 방식과 얇은 표피층 제작에 유리한 잉크젯 프린팅 방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통합형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실제 피부와 유사한 구조적인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또한 기존의 인공피부 제작 방식과 달리 3D 프린팅 기법을 적용해 다공성 3차원 구조체를 사용함으로써 세포가 포함된 세포층의 구조적 변형(수축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도 시장에서 경쟁우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티앤알바이오팹 측은 “이 기술은 새롭게 개발 중인 의약품(치료제)이나 화장품의 효능·독성을 평가하고 동물 실험을 대체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최근 유럽을 시작으로 화장품 개발을 위한 동물 실험이 금지됐고 의약품 개발을 위한 동물실험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움직임도 확대되고 있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피부 분야는 시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국내외 신약개발·화장품 기업 등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확대하고 기술력을 고도화해 3D 세포 프린팅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전략이다.
혈관·모낭·피하지방 등을 포함하는 등 실제 피부와 더욱 유사한 인공피부 조직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는 티앤알바이오팹은 앞으로 꾸준한 연구를 통해 여드름·주름·피부암 등 피부 관련 질병연구·신약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티앤알바이오팹은 주사를 통해 주입하는 줄기세포 치료제와 달리 반창고처럼 붙이는 패치 형태의 세포 치료제도 개발할 계획이다.
패치형 치료제는 환자의 손상된 세포를 재생·재건하는 기능을 통해 재생의학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며, 현재 유럽 특허를 출원하고 심사를 기다리고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 CET1 방어 나선 금융지주…기업대출 조이기로 방향 틀어
- ‘美 관세충격’ 코스피 2500 붕괴…낙폭 일부 만회
- 핵심 인재 떠나고 빼앗기고...토스證 김규빈 리더십 시험대
- 롯데카드, 실적 부진·MBK 리스크…새 주인 찾기 ‘난망’
- 또 구설 오른 키움證, 이번엔 주문 '먹통'…점유율 1위 흔들리나
- KB국민銀, 미얀마 지진 피해 구호 성금 1억4000만원 지원
- 하나금융, 중기·소상공인 대상 총 6.3조원 긴급 금융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투스247학원, ‘2026 프리반수반’ 모집…1:1 스마트 관리 제공
- 2부산도시공사, 전기 설계용역 분리발주…전기설비 전문성 UP
- 3아우디 코리아, 지역 공식 딜러사로 아이언오토·고진모터스 선정
- 4‘신축’ 홀릭 시대…구축 멀어지고 ‘뉴라이프’에 몰린다
- 5한샘, 식목일 기념 시흥시 ‘행복의숲’ 조성 참여
- 6알록·두산베어스 스폰서십 체결…홈 경기 ‘댄스 배틀’ 개최
- 7푸마, '청백적 프로모션' 진행…"수원삼성 팬들에 보답"
- 8포르쉐코리아, 경상도 산불 피해 복구에 2억2000만 원 기부
- 9HD현대, 美 AI 방산기업 안두릴과 무인함정 개발 맞손
- 10키움증권, 이틀째 시스템 오류…주식매매 주문 지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