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 안 된 3세 후계’… 항공업계 경영체제 급변

[앵커]
국내 항공업계의 양대산맥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두 수장이 갑작스럽게 퇴진하면서, 항공업계 경영체제 변화가 불가피해졌습니다. 경영 3세 후계 구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미처 경영승계 준비가 이뤄지지 않아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은 전망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항공업계 3세 경영 시계가 빨라졌습니다.
양대 총수가 물러나면서 관심은 자연스럽게 3세로 쏠립니다.
아버지들이 떠난 자리는 조원태, 박세창 두 아들이 대신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아 보입니다.
우선, 대한항공의 경우 전일 조양호 회장이 급작스럽게 별세하면서 조원태 사장의 체제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시각이 우세합니다.
그러나, 경영권 승계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조 사장의 한진칼 지분이 턱없이 낮아 당장 조양호 회장의 지분을 상속받아야 안정적인 승계가 가능하지만, 1,700억원에 달하는 상속세가 걸림돌입니다.
특히, 2대 주주인 KCGI이 한진칼의 지분을 사모으며 호시탐탐 최대주주 자리를 노리고 있는데다, 3대 주주인 국민연금도 등을 돌린 상황입니다.
조 사장 입장에서는 향후 한진칼 지분 쟁탈전에 대비한 경영권 방어가 시급한 셈입니다.
박세창 사장 역시 상황이 어렵긴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아시아나는 유동성 위기에 허우적대고 있습니다. 당장 갚아야 할 돈만 1조 7,000억원에 달합니다.
아사아나항공 매각 이야기까지 나오며 사태가 심각한데, 박 사장은 아직 이렇다 할 경영성과를 보여주지 못해 그룹 재건을 위한 중책을 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jjss1234567@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0%…디플레 우려 지속
- 일본 상장사 2분기 순익 3년만에 감소세…"관세 영향"
- 엔비디아, H20 AI칩 중국 수출 재개
- 日언론 "한일 정상회담 23일 전후 도쿄 개최 조율"
- '케데헌' 열풍 지속…OST '골든' 英 싱글 차트 2위
- 인텔 CEO, 트럼프 사임 압박에 中 관련 의혹 부인…"법적·윤리적 기준 준수"
- 주유소 기름값 2주 연속 상승…"다음 주 상승세 제한적"
- 확률형 아이템 규제 강화에…게임업계 ‘긴장’
- 듀오, 8월 결혼정보회사 가입 적기 이유 '세 가지' 공개
- 오픈AI 올트먼 CEO "성장 위해 적자 감수…머스크 발언 신경 안 써"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게임화하는 자본주의: 모두가 살아남는 결말은 가능한가?
- 2전통의 숲에서 걸어나온 호랑이
- 3고창군, 휴가철 ‘1회용품 없는 날’ 캠페인 전개
- 4여수시, 불친절·위생불량 업소 철퇴…관광도시 신뢰 회복 나선다
- 5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0%…디플레 우려 지속
- 6일본 상장사 2분기 순익 3년만에 감소세…"관세 영향"
- 7엔비디아, H20 AI칩 중국 수출 재개
- 8정청래, 강선우 당 국제위원장에 유임…"당직 인사 완벽"
- 9日언론 "한일 정상회담 23일 전후 도쿄 개최 조율"
- 10'케데헌' 열풍 지속…OST '골든' 英 싱글 차트 2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