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 안 된 3세 후계’… 항공업계 경영체제 급변

[앵커]
국내 항공업계의 양대산맥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두 수장이 갑작스럽게 퇴진하면서, 항공업계 경영체제 변화가 불가피해졌습니다. 경영 3세 후계 구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미처 경영승계 준비가 이뤄지지 않아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은 전망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항공업계 3세 경영 시계가 빨라졌습니다.
양대 총수가 물러나면서 관심은 자연스럽게 3세로 쏠립니다.
아버지들이 떠난 자리는 조원태, 박세창 두 아들이 대신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과정이 순탄치만은 않아 보입니다.
우선, 대한항공의 경우 전일 조양호 회장이 급작스럽게 별세하면서 조원태 사장의 체제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시각이 우세합니다.
그러나, 경영권 승계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조 사장의 한진칼 지분이 턱없이 낮아 당장 조양호 회장의 지분을 상속받아야 안정적인 승계가 가능하지만, 1,700억원에 달하는 상속세가 걸림돌입니다.
특히, 2대 주주인 KCGI이 한진칼의 지분을 사모으며 호시탐탐 최대주주 자리를 노리고 있는데다, 3대 주주인 국민연금도 등을 돌린 상황입니다.
조 사장 입장에서는 향후 한진칼 지분 쟁탈전에 대비한 경영권 방어가 시급한 셈입니다.
박세창 사장 역시 상황이 어렵긴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아시아나는 유동성 위기에 허우적대고 있습니다. 당장 갚아야 할 돈만 1조 7,000억원에 달합니다.
아사아나항공 매각 이야기까지 나오며 사태가 심각한데, 박 사장은 아직 이렇다 할 경영성과를 보여주지 못해 그룹 재건을 위한 중책을 맡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jjss1234567@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에어부산, LCC 최초 비행경향분석 시스템 개발
- 볼보트럭코리아, 전국 서비스네트워크 교육 강화
- KGM, 이탈리아에 브랜드 론칭…"글로벌 시장 확대"
- GS칼텍스, IMO 설득해 ‘바이오선박유 운송 규정’ 변경
- hy, NGO 굿피플과 MOU…"사회공헌 캠페인 지속"
- 롯데케미칼·한국중부발전, 재생에너지 개발 및 공급 사업 업무협약
- JW중외제약, A형 혈우병 치료제 'HAVEN 심포지엄' 성료
- 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보안 거버넌스 강화"
- 이스타항공, 국제선 14개 노선 대상 임박 특가 프로모션 진행
- 日 셀렉트샵 비샵, 한남동에 첫 글로벌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횡성군의회, 영덕군 산불피해 복구 성금 기탁
- 2경북테크노파크, 영천 금호 청년모임 및 동아리 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 3김성호 영덕군의회 의장
- 4경북도, 254억원 투입 산불 피해 과원을 미래형 과원으로 전면 재조성
- 5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공약이행평가, 경북도 최우수(SA) 획득
- 6iM금융그룹, 삼성라이온즈와 함께 ‘홈런 기부 캠페인’ 실시
- 7대구광역시, 도시철도 안전 강화한다. . .LTE-R 국비 확보
- 8대구대 심준호 교수 연구팀, 전기화학 에너지 촉매 기술로 국제 학술지 표지 연속 장식
- 9경산교육지원청, 2025 학교체육진흥지역위원회 1차 협의회 개최
- 10대구지방환경청, 고농도 오존 대응 행동요령 안내 등 홍보 캠페인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