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약세…은행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세 이어져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68조4,901억원으로, 3월말에 견줘 2.0%(1조3,371억원) 늘었다. 전세자금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율은 앞선 3월에 2.0%로, 2017년 5월의 1.9% 이후 23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 데 이어 4월에도 재차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증가세 둔화 추세는 마찬가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올 2월 38.2%로 40% 미만으로 떨어진 이후 3월 35.9%, 4월 34.3%로 하락 추세다.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는 지난해 9·13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전세 물량도 많이 나옴에 따라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진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택 전셋값은 월간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4월까지 6개월째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하락률이 올해 들어 1월 -0.28%, 2월 -0.30%, 3월 -0.32%, 4월 -0.34%로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만 보면 지난해 10월 29일부터 이달 6일까지 28주째 내림세다. 국민은행 부동산 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작년 11월에 59.6%로 60% 벽이 무너진 후 올 4월 59.3%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단, 전월세 거래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신고 건수는 1만4,848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9.3% 증가했다. 3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로 5.1% 감소한 바 있다.
9·13 대책에 포함된 전세자금대출 규제도 전세자금대출 ‘옥죄기’에 일조했다. 정부는 1주택자는 부부합산 소득 1억원까지만 공적 보증을 제공하고, 2주택 이상은 아예 공적 보증을 제한했다. 공적 보증이 없으면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않으므로 사실상 전세자금대출 대상자를 소득이 1억원 이하인 1주택자로 한정한 셈이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울산사진관 신정동모델사진관, 희망리턴패키지로 새 단장
- 2G마켓, 마리아나관광청 ‘사이판 에어텔’ 특가 프로모션
- 3CJ도너스캠프, '2025 CJ도너스캠프 문화동아리 쇼케이스' 성료
- 4뱅크샐러드, 데이터·AI 기반 '보험료 줄이기 솔루션' 선봬
- 5롯데홈쇼핑, 강추위 예고에 ‘프리윈터 쇼핑위크’ 진행
- 6네이버, 주도주 가능성 볼 시기…목표가↑-미래에셋
- 7현대차그룹,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신설…"대규모 해킹 방지"
- 8BGF리테일, 부패방지경영시스템 ‘ISO 37001’ 인증 취득
- 9제약업계, 제품 판촉물 중단…'펜 기념품'은 허용
- 10행동주의 펀드 ‘표적 신호’ 포착…“이런 기업 노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