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 약세…은행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세 이어져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14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지난달 말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68조4,901억원으로, 3월말에 견줘 2.0%(1조3,371억원) 늘었다. 전세자금대출의 전월 대비 증가율은 앞선 3월에 2.0%로, 2017년 5월의 1.9% 이후 23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한 데 이어 4월에도 재차 낮은 수준을 보였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증가세 둔화 추세는 마찬가지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이 올 2월 38.2%로 40% 미만으로 떨어진 이후 3월 35.9%, 4월 34.3%로 하락 추세다. 전세자금대출 증가세 둔화는 지난해 9·13 대책 이후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전세 물량도 많이 나옴에 따라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진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택 전셋값은 월간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마이너스로 돌아선 이후 4월까지 6개월째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하락률이 올해 들어 1월 -0.28%, 2월 -0.30%, 3월 -0.32%, 4월 -0.34%로 확대되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만 보면 지난해 10월 29일부터 이달 6일까지 28주째 내림세다. 국민은행 부동산 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이 집계한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은 작년 11월에 59.6%로 60% 벽이 무너진 후 올 4월 59.3%로 계속 떨어지고 있다.
단, 전월세 거래는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울시의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4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신고 건수는 1만4,848건으로 전년 동월보다 9.3% 증가했다. 3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로 5.1% 감소한 바 있다.
9·13 대책에 포함된 전세자금대출 규제도 전세자금대출 ‘옥죄기’에 일조했다. 정부는 1주택자는 부부합산 소득 1억원까지만 공적 보증을 제공하고, 2주택 이상은 아예 공적 보증을 제한했다. 공적 보증이 없으면 은행에서 대출을 해주지 않으므로 사실상 전세자금대출 대상자를 소득이 1억원 이하인 1주택자로 한정한 셈이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벤츠·현대차·르노코리아 등 21개 차종 2만4555대 리콜
- 페이퍼컴퍼니 뒤에 숨은 M&A…이니텍, '깜깜이 딜' 주의보
- "서울보증 사태 재발 막자"…정부, 징벌적 과징금 추진
- 韓증시 호평하던 글로벌IB, 세제안 발표에 '급유턴'
- 카카오뱅크, 역대 최대 실적…수익 다각화는 과제
- 기업銀, 영천시 화재피해 중소기업 1000억원 긴급 자금 지원
- 갤럭시아머니트리, 위버스에 '신용카드 결제서비스' 제공
- 벡트, 'AI 전자칠판'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 금투협, '자산운용사 백오피스 운용지원·세무회계' 과정 개설
- 삼성운용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순자산 5000억원 달성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도시공사, 행안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서 '우수등급' 획득
- 2SK이노 E&S, 서울 대치동 코원에너지 부지 5050억원에 매각
- 3삼성 갤럭시 워치8, 예방 중심 헬스케어…'건강 동반자' 도약
- 4현대로템, 현대제철·동아오츠카와 함께 '온열질환 예방 위한 업무협약' 체결
- 5더 시에나 프리모, 오픈 기념 단독 특전
- 6LG화학, 2분기 영업익 4768억…전년比 21.5%↑
- 7카사요, ‘서울시 워라밸 포인트기업’ 선정…진입형 인증 획득
- 8스타벅스, 독립유공자 후손 위해 독립문역점·환구단점 수익금 전액 기부
- 9유클리드소프트, 건양대학교 군사과학연구소와 MOU 체결
- 10대한항공, 美 방산기업 안두릴과 아·태지역 무인기 개발 사업 협력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