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생산자물가, 전월 대비 0.3%↑… 유가 반등에 석 달째 상승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돼지고기 13.5%↑…부활절 달걀값 39.5%↑

국내 생산자물가의 상승세가 석 달째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9년 4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103.67(2015년=100)로 한 달 전보다 0.3% 올랐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6% 오른 수치다.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하락세를 보이던 전월 대비 생산자물가지수는 2월(0.1%) 이후 석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
지난달까지 이어진 국제유가 반등이 생산자물가를 올린 주요인으로 꼽힌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달 말 배럴당 72.13달러로 한 달 전(67.61달러)보다 6.7%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공산품을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최근 들어 상승 압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공산품 가격이 전월 대비 0.3% 오른 가운데 품목별로는 석탄 및 석유제품이 전월 대비 4.1% 올라 전체 지수상승을 견인했다. 특히 휘발유 가격이 전월 대비 9.9%, 경유 가격은 2.6% 올랐다.
농림수산품 가격은 공산품보다는 가중치가 적지만 전월 대비 1.3% 올라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컸다. 중국 등지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산하며 국내산 돼지고기 수요가 늘어 돼지고기 가격이 전월 대비 13.5%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여기에 더해 부활절 수요로 달걀값도 지난 달 대비 39.5% 급증했다.
서비스 물가는 운송서비스 등 가격이 올라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 업종 별로는 택배는 49.9%, 전세버스는 5.7%, 택시는 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3%) 역시 작년 10월 이후 줄곧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편 한은은 주요 경제통계와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5년마다 기준연도를 최근 시점으로 바꾸는 원칙에 따라 이번 발표부터 기준연도를 기존 2010년에서 2015년으로 개편한다고 밝혔다.
한은 관계자는 “2010년 기준년 개편 때 연쇄가중방식(조사품목 및 가중치를 매년 변경해 지수 산출)을 도입한 효과로 과거에 품목과 가중치를 고정(고정가중방식)했을 때보다 기준년 개편에 따른 지수 수정폭이 상당히 줄었다”고 설명했다. 2016∼2017년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신지수(2015년 기준)와 구지수(2010년 기준) 간 생산자물가 등락률 차이가 없었고, 2018년 중에는 신지수 등락률이 구지수 등락률을 0.1%포인트가량 밑돌았다. 올해 1∼3월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전년 동월 대비)은 신지수가 구지수를 0.3%포인트 웃돌았다. /이소연기자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해남군, 5월 3~5일 '해남공룡대축제' 개최
- 여수상의, 지역 인재 발굴·취업 NON-STOP 지원
-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마무리…8만여 명 방문
- 전북자치도의회, 치유 음식관광 활성화 연구회 본격 활동 시작
- 정동영 의원 "대광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환영…전북 교통 인프라 획기적 전기 마련"
- 강진군, '빈집재생지원 사업지구' 선정
- 서거석 전북도교육감, 학원장들과 불법과외 근절 대책 논의
- [기획] 남원시, 지방소멸 극복 선도…청년·출산·정주 정책 '성과 눈에 띄네'
- 전북자치도교육청, 직업계고 취업로드맵 개발·보급
- “주민 지지 없인 통합 불가”… 유희태 완주군수, 지방시대위 결정에 강경 입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복현 금감원장 사의 표명…“부총리·한은 총재 만류”
- 2현대차 美 공장 가동 20년…국내 수출·고용 ‘껑충’
- 3法 “교보생명, ICC 강제금 효력 없다”…풋옵션 새국면
- 4ETF 수수료 ‘꼼수’ 쓴 운용사들…당국, 결국 칼 뺐다
- 5금감원, PEF 대대적 검사한다지만…MBK ‘맹탕 검사’ 우려
- 6한샘 김유진의 ‘허리띠 졸라매기’…본업 경쟁력은 언제?
- 7애경, 그룹 모태 ‘생활용품·화장품 사업’ 눈물의 정리
- 8롯데건설, 완판행진 제동…‘김포풍무’ 고분양가에 수요자 외면
- 9AI폰 포문 연 삼성, 애플 추격 ‘예의주시’
- 10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만화박물관서 ‘K-콘텐츠’ 알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