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 ‘백제의 미소’ 환수 안 하나, 못 하나

전국 입력 2019-05-28 17:20:54 수정 2019-05-28 17:20:54 유민호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앞선 보도를 통해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의 국내 환수가 지지부진한 상황이고, 문화재청은 불상이 중국으로 건너간 사실도 언론 보도를 통해서 알았고, 불상이 중국으로 건너갔다는 보도가 나오자 그런 일이 없었다고 해명하는 등 진실 감추기에 급급한 모양새인데요. 이 내용 취재한 유민호기자와 이야기 자세히 나눠보겠습니다. 우선 유기자 이 불상의 가치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주시죠.


[기자]

네. 논란이 되고 있는 금동관음보살입상은 백제시대를 대표하는 불상입니다.

전문가들은 이 불상을 한국 불교 조각사의 최고 걸작으로 꼽는데요.


지난 1907년 충남 부여에서 출토돼 일제 강점기 전후해 일본으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 후 오랫동안 행방이 묘연하다 국내 학자들이 2년 전 일본의 한 기업가가 소장하고 있단 사실을 확인했고, 문화재청 등이 공개적으로 나서 협의를 통해 환수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불상은 원래 두 점이 함께 출토됐는데요. 지금 화면에 나오는 불상은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입니다.

이 작품도 일본에 넘어갈 위기에 빠졌다가 해방 뒤 압수절차를 거쳐 국보 293호로 지정된 뒤 우리가 만나볼 수 있게 됐습니다.


지금 일본에 간 것으로 확인된 불상을 두고, 미술 전문가들과 학계는 국내에 있는 것보다 미적, 역사적 가치가 높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앵커]

역사적 가치가 뛰어난 우리 문화재잖아요. 왜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은 환수를 미적대고 있는 건가요?


[기자]

결국 돈 문제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 불상의 환수 금액을 42억원으로 책정해두고 일본 소장자 측과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는데요.


소장자 측은 160억원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소장자 측 관계자는 “단순히 돈을 더 달라는 것이 아니라 작품이 가진 가치를 정부가 제대로 판단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정부는 불상 환수에 손을 놓아버린 상황입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문화재청장이 직접 환수에 나서겠다고 공언했지만, 그 이후로는 아무런 접촉도 없었습니다.

또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계속해서 언론보도에 대응하는 식으로 땜질식 해명만 늘어놓고 있습니다.


특히 관련 내용을 문화재청 산하 전담기관에 문의해보니 아직도 사태 파악 중이고, 현재 일본 소장자 측과 접촉하기 위해 노력 중이란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이야기 들어보시죠.


[인터뷰]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관계자

“일부 보도에서는 계속 정부는 손을 놓고 있다 그러는데 전혀 그런 건 아니고요. 소장자로 추정되는 쪽을 계속 만나려고 하고 있고…”


환수가 의지가 보이지 않는단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앵커]

중요 문화재를 환수하는 것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해외 사례는 좀 어떻습니까?


[기자]

네. 먼저 일본의 경우에는 문화재보호법을 통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환수에 개입하고 있습니다.

국보급 문화재나 중요 문화재를 매매나 유상 양도하려면 금액이나 거래 주체를 정부에 신고하도록 해뒀고요.


만약 정부가 그 문화재를 사들이겠다고 결정한다면, 정부가 문화재에 대한 우선권을 쥐고 거래에 나설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런 법이 없는 상황이고, 전적으로 문화재청이나 국립중앙박물관 등 행정기관에 맡길 수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또 중국의 사례를 보면요.

중국도 우리와 같은 역사적 아픔이 있기 때문에 외국에서 발견된 자국 문화재 환수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최근 가장 흥미로운 이야기가 지금 화면에 나오는 청동기 시대 유물인 ‘민방뢰’ 사례인데요.

중국 호남성박물관이 이 유물의 뚜껑만 확보해서 전시하고 있었는데, 2014년 미국 뉴욕 크리리스티 경매에 나머지 본체가 나온 겁니다.


이에 호남성 정부는 뉴욕까지 방문해 경매 관계자들과 협상을 벌였고, 결국 비공개 경매를 통해 이 유물을 약 2,000만달러에 확보했습니다.

또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크라우드 펀딩’ 방식을 통해 경매 비용을 마련한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입니다.


[앵커]

이웃나라들은 법도 만들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문화재 환수에 뛰어들고 있잖아요. 우리는 이래저래 꽉 막힌 상황인데 개선 방안 없을까요?


[기자]

네. 먼저 법을 만들기가 어렵다면, 전담기관과 민간이 공동으로 나서 환수금액을 마련하고 함께 행동에 나서야 한단 목소리가 나옵니다.


특히 현재 환수에 나서고 있는 문화재청과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각각 40여억원의 예산이 책정돼 있는 데요.

두 기관이 우선 적극적으로 공조를 해서 환수에 뛰어 들어야 한단 지적이 나왔습니다.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시죠.


[인터뷰] 장진성 /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재청, 국외소재문화재재단 그리고 민간단체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서 합리적인 방향으로 기관 공조를 해서 돈을 모아 적극적으로 환수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 문화재 환수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는데요.

현재 ‘약탈’, ‘밀반출’ 등 단어에 매몰되지 말고, 앞서 나온 사례처럼 경매 등의 방법을 통해 환수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특히 이번 백제 금동관음보살입상 환수가 어그러질 경우 앞으로 외국에 있는 우리 문화재를 소유한 소장자들이 국내 환수에 협조하지 않을 것이란 지적을 문화재청과 정부가 뼈아프게 받아 들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백제의 미소가 우리 땅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요. 관심 가지고 지켜봐야겠습니다. 유기자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