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DSR 규제' 발표…상호금융 80%·저축銀 90%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은 현재 세자리수대에 달하고 있는 평균 DSR을 2025년까지 80%, 90% 등 두자릿수대로 운영해야 한다.
DSR(Debt Service Ratio)은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차주의 연간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현재 상호금융권의 평균 DSR은 261.7%인데, 이를 2021년말까지 160%, 2025년말까지 80%로 낮춰야 한다.
저축은행과 캐피탈사는 2021년 말까지 90%, 보험사는 70%, 카드사는 60%로 하향조정해야 한다.
손병두 금융부위원장은 30일 가계부채관리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제2금융권 DSR 관리지표 도입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제2금융권에서도 DSR을 시행함으로써 가계 부채 전반에 걸쳐 산환능력 심사 체계를 완비하게 됐다"며 도입 의의를 밝혔다.
또한, 고DSR 비중 역시 현행 지방은행의 관리기준 수준으로 관리해야 한다.
상호금융권의 경우, DSR 70% 초과 대출 비중을 2021년까지 50%, 2025년말까지 30%로 조정하고 90% 초과대출 비중은 2021년 45%를 거쳐 2025년말까지 25% 이하로 운영해야 한다.
저축은행의 70% 초과대출과 90%초과대출 비중 상한은 각각 40%와 30%다.
보험과 카드사의 70% 초과대출 비중 상한은 25%였고 90% 초과대출 비중 상한은 각각 20%, 15%였다.
캐피탈사에 적용되는 기준은 70%초과대출 비중 상한 45%, 90%초과대출 비중 상한은 30%다.
다만, 금융당국은 DSR을 계산할 때 적용되는 소득과 부채 계산 방식을 조정했다.
농어업인 차주가 신고소득 확인서류로 '조합 출하실적'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인정소득 또는 신고소득 등의 복수의 자료로 확인된 소득액의 경우에는 소득자료로 활용가능한 상한액을 연 최대 7,000만원까지 상향조정하는 등 소득 산정 방식이 보완됐다.
부채 역시 보험계약대출과 예적금담보대출의 경우에 원금상환액을 제외한 이자상환액만 DSR에 반영하는 등 부채 산정 범위를 조정했다.
제2금융권 DSR 관리지표는 오는 6월 17일부터 시행된다./고현정기자go838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서울보증 사태 재발 막자"…정부, 징벌적 과징금 추진
- 韓증시 호평하던 글로벌IB, 세제안 발표에 '급유턴'
- 카카오뱅크, 역대 최대 실적…수익 다각화는 과제
- 기업銀, 영천시 화재피해 중소기업 1000억원 긴급 자금 지원
- 갤럭시아머니트리, 위버스에 '신용카드 결제서비스' 제공
- 벡트, 'AI 전자칠판'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 금투협, '자산운용사 백오피스 운용지원·세무회계' 과정 개설
- 삼성운용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순자산 5000억원 달성
- 이니텍, 분주한 손바뀜…어른거리는 '엔켐·광무' 그림자
- 헝셩그룹 "글로벌 스포츠 행사 공식 굿즈 사업 호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SDI 배터리 탑재 차량, 세계 최장 주행으로 기네스북 등재
- 2GM-현대차, 5종 차량 공동 개발…“2028년 출시”
- 3경기도, 현안 대책 회의…호우복구·관세 피해·미군 공여지 개발 논의
- 4한경협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시급”
- 5수원시, 108억 원 규모 ‘새빛공원 페스티벌’ 활성화
- 6인천 일부 열차 사업, 수요예측 실패 '적자 악순환'
- 7고창 꿀고구마, 과자로 재탄생
- 8"서울보증 사태 재발 막자"…정부, 징벌적 과징금 추진
- 9IS동서, 시평 50위 밖으로…재무건전성 회복 해법은
- 10‘AI 기본법’ 논의 지지부진…유예론 ‘솔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