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액 자산가 위한 사모펀드 ‘고속성장’…전체 펀드액 60.5% 차지

사모펀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체 펀드 규모의 60%를 넘었다.
2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사모펀드의 설정액은 333조2,000억원으로 전체 펀드 설정액의 60.5%를 차지했다. 연말 기준으로 이 비중이 60%를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사모펀드는 49명 이하의 투자자에게서 돈을 모아 주식·채권·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최소 가입액이 1억원에 달해 소수의 고액 자산가들에게 팔리는 상품이다.
공모펀드 설정액은 217조8,000억원으로 비중이 39.5%에 그쳤다. 공모펀드는 불특정 다수에게서 자금을 모으고 가입자 입장에서는 적은 금액으로 투자할 수 있어 서민·중산층을 위한 재테크 상품으로 여겨진다.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위상은 지난 10년간 완전히 달라졌다. 사모펀드 설정액은 10년간 200조원 늘어난 데 비해 공모펀드 설정액은 오히려 15조원 감소한 결과다.
특히 사모펀드는 최근 4~5년 새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실제로 사모펀드 설정액은 2014년 말 173조원에서 2015년 말 200조4,000억원, 2016년 말 249조6,000억원, 2017년 말 286조원, 지난해 말 333조2,000억원으로 빠르게 커졌다.
이처럼 공모펀드의 인기가 시들해진 것은 주가연계증권(ELS), 상장지수펀드(ETF) 등 간접투자를 할 수 있는 경쟁 상품이 늘어난 것도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반면 사모펀드는 주식 등 전통적인 자산보다 부동산이나 선박·항공기·유전·지식재산권 등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펀드가 좋은 수익을 내면서 자산가들의 자금을 끌어들였다.
사모펀드는 소수의 자산가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자금 운용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펀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다. 공모펀드는 동일 주식 종목에 자산의 10% 이상 투자할 수 없지만 사모펀드는 한 종목에 100%까지 투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투자전략을 실행할 수 있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WSJ "트럼프 행정부, 美 패니메이·프레디맥 연내 상장 추진"
- 국제금값, 관세 혼란에 '출렁'…장중 한때 최고치 돌파
- 달러-원, 상승폭 축소…1,387.50원 마감
- 뉴욕증시, 애플 급등에 상승 마감…나스닥 최고치 경신
- 이더리움, 올해 첫 4000달러 돌파…기관 매수·ETF 자금 유입
- OK저축, 대부업 철수 약속 어기고 고객 자금 횡령까지…과태료 3.7억원 중징계
- 폭 넓어진 여행자보험…'무사고 환급·항공 지연 특약'까지
- [부고] 이후경(신한라이프 DB사업그룹장)씨 장모상
- 코인원, 코인 팔아 숨통 트나…FIU 제재·현금난 해소
- 증시 활황에 증권사 실적도 '고공행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게임화하는 자본주의: 모두가 살아남는 결말은 가능한가?
- 2전통의 숲에서 걸어나온 호랑이
- 3고창군, 휴가철 ‘1회용품 없는 날’ 캠페인 전개
- 4여수시, 불친절·위생불량 업소 철퇴…관광도시 신뢰 회복 나선다
- 5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0%…디플레 우려 지속
- 6일본 상장사 2분기 순익 3년만에 감소세…"관세 영향"
- 7엔비디아, H20 AI칩 중국 수출 재개
- 8정청래, 강선우 당 국제위원장에 유임…"당직 인사 완벽"
- 9日언론 "한일 정상회담 23일 전후 도쿄 개최 조율"
- 10'케데헌' 열풍 지속…OST '골든' 英 싱글 차트 2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