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못살겠다" 이마트24 점주, 이마트 잇단 제소
"노브랜드에 이마트에브리데이까지..." 계열사 근접출점에 고통받는 이마트24 점주

[앵커]
편의점 이마트24 점주들이 끊임없는 이마트 계열사간 근접출점에 공정거래위원회에 이를 바로잡아달라며 이마트 본사를 줄줄이 제소하고 있습니다. 이마트 24 인근에 노브랜드 전문점과 이마트에브리데이 출점이 이어지며 점주들이 걱정해야 할 경쟁상대가 아이러니하게도 ‘이마트 계열사’가 됐기 때문입니다. 이마트는 점포 형태가 다르다고 강변하고 있지만, 이마트를 믿고 편의점을 오픈한 가맹점주들은 날벼락을 맞은 셈입니다. 문다애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부산 명지동에 있는 이마트24 명지오션시티점.
이 편의점 점주는 지난달 공정위에 이마트 본사를 가맹사업법을 위반했다며 신고했습니다.
이마트24가 오픈한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인 지난 7월 약 100m거리에 이마트 계열사인 기업형 슈퍼마켓 이마트 에브리데이가 오픈했기 때문입니다.
가맹사업법 제 12조에 따르면 “가맹본부는 정당한 사유없이 가맹계약 기간 중 가맹점사업자의 영업지역 안에서 가맹점사업자와 동일한 자기 또는 계열회사의 직영점이나 가맹점을 설치하는 행위를 해선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마트 에브리데이의 근접출점으로 이 편의점은 매출 급감과 같은 큰 곤경에 처했습니다.
[인터뷰]이마트24 명지오션시티점 점주
“노브랜드 보다는 편의점하고 유사한 구색이, 구색면에서 거의 같으니까. 담배도 동일하게 취급하고요. 구색면이나 가격면에서 편의점보다는 비교우위에 있으니까 사실 경쟁이 좀 힘들죠. 간판도 거의 똑같고요. 일반 손님들은 잘 모르세요.”
이마트 본사에 대한 편의점 점주들의 제소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수원과 울산, 광주 등 확인된 것만 10명 이상의 이마트24 점주들이 노브랜드 근접출점으로 이마트 본사를 공정위에 잇따라 신고한 바 있습니다.
서울경제TV 확인 결과 현재 서울과 경기 부산의 경우 이마트24 인근 250m 내 노브랜드가 출점한 경우가 20건, 이마트에브리데이가 근접출점한 피해 사례는 14건으로 총 34건입니다.
여기에 이마트 본사가 노브랜드와 이마트에브리데이를 확장하겠다고 나서고 있어 향후 근접출점 갈등은 더욱 격화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이마트 측은 ”점포간 업태가 다르다”며 문제될 것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이마트는 “이마트 에브리데이 점주가 원해 오픈한 것일 뿐”이라고 반박하며 책임을 다른 점주에게 떠넘기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 /문다애기자 dalove@sedaily.com·장은영 인턴(취재 지원)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의협 "무허가 녹용 판매 업체, 영구 퇴출해야"
- 가수 이기찬, 이지현도 재발한 ‘허리디스크’…한의통합치료 해볼까?
- "EGFR 변이 폐암에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 요법…3년 생존율 60%"
- 중앙대병원, 로봇심포지엄 성료…로봇수술 최신지견 공유
- 난청과 헷갈리는 ‘성인 청각신경병증’ MRI 기반 진단 방법 나와
- 서울성모병원, 아태지역 첫 ‘단일공 비뇨기 로봇수술’ 1000례 달성
- 고려대 의대, 과기정통부 25개 과제 선정…연구비 45억 원 수주
- 이화의료원, 바스젠바이오와 업무협약 체결
- 암·치매 진단 5분 만에…강남성심병원, 3세대 디지털 PET-CT 운영
- '러닝 열풍'에 나도 도전? 약이 될 때, 독이 될 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심덕섭 고창군수, “고준위 폐기물 특별법에 인근지역 재정 대책 빠져” 반발
- 2건설협회, 스마트건설 청년인재 채용설명회 개최
- 3고강도 노동안전 대책에…건설업계 “공급 위축 우려”
- 4LG전자, 전사 희망퇴직 확대…인력 선순환 총력
- 513개월만에 '8만전자' 회복…개미 팔고 외인 담고
- 6HD현대重 노사, 임금협상 잠정합의…조선3사 임단협 막바지
- 7에코프로, 인니 2기 투자 본격화…“사업 다각화”
- 8고창군, 국민공감대상 ‘축제관광도시’ 부문 수상
- 9확 바뀐 홈쇼핑…“AI쇼호스트 도입·챗봇이 주문·배송”
- 10농협도 가세…은행권, 자산관리 경쟁 치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