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매운동 제동 걸리나…소셜미디어 연관어 급감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해 지난 7월 1일부터 빠르게 확산했던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최근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의 버즈워드(언급량) 자료에 따르면 7월 첫째 주부터 9월 둘째 주까지 11주간 소셜미디어에서는 일본제품 불매 관련 게시글이 88만2,388건 작성됐다. 소셜미디어 게시글과 포털뉴스 댓글, 온라인 기사까지 합하면 100만 건 이상의 콘텐츠가 생성됐다. 닐슨코리아 버즈워드는 온라인 블로그, 카페, 게시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포털 뉴스사이트, 댓글, 동영상 사이트 등에서 발생한 게시글을 1일 단위로 실시간 수집해 빠르게 확산하는 온라인 버즈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솔루션이다.
일본제품 불매 관련 게시글 수는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제외 결정 직전인 7월 넷째 주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서서히 감소하며 최근 약 1만8천건의 게시글만 확인됐다. 닐슨코리아는 “7월 초부터 클리앙과 보배드림 등 대형 커뮤니티 이용자를 통해 불매 목록과 사이트, 로고 등이 만들어진 뒤 다른 커뮤니티와 개인 채널을 통해 빠르게 정보가 확산하면서 불매운동이 시민단체 주도가 아닌 국민의 자발적인 참여 형태로 전개됐다”고 밝혔다. 닐슨코리아는 “현재 이슈가 완전히 소멸하지는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슈 소강기에 접어들기는 했지만 9월 둘째 주 불매운동 버즈량이 다시 상승한 것을 보면 일부 커뮤니티와 적극적인 보이콧 참여자들 사이에서 장기적으로 불매운동이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편, 7월부터 지난 15일까지 불매운동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품목은 ‘여행’으로 21만3,432건이었고, 맥주(9만4,631건), 자동차(7만3,549건)가 뒤를 이었다. 다음은 필기구(6만3,894건), 화장품(4만3,158건), 식품(2만8,160건), 카메라(2만3,644건) 순이었다.
닐슨코리아는 “하절기 매출이 급락하고 마케팅 활동을 소극적으로 할 수밖에 없었던 일본 브랜드들은 가을·겨울 시즌을 맞아 분위기를 쇄신하려고 고삐를 다잡고 있다”며 “국내 브랜드들도 일시적 반사이익을 누렸던 것에 그치지 않고 확실한 승기를 잡기 위해 질적 성장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라고 말했다./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구광역시, '광역형 비자’로 5대 신산업 외국우수인재 확보 발판 마련
- 영남이공대, 학생자치기구 학생 의견수렴 설명회 개최
- 경산교육지원청, 제46회 경상북도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시 예선대회 개최
- 대구 북구, 야외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 원주시, KOTRA ‘해외투자유치 지원사업’ 선정...외자유치 역량강화
- 데이터로 만드는 스마트한 여행, 관광데이터 활용 공모전
- 작은 실천 큰 변화 ... 피스북과 미니피스가든 활동
-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당선…51.13% 득표율 기록
- 고양국제꽃박람회, 국제인증전시회 획득
- [4·2 전남 재보궐선거] 전남 재선거 당선자 정철원·이돈견·김재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신證 "폴더블폰 성장 명확, 힌지 부품업체 KH바텍 주목"
- 2이스타항공, 인천국제공항 ‘셀프 백드롭 서비스’ 시작
- 3진에어, 인천공항서 인천-이시가키지마 노선 취항식 개최
- 4코스피, 트럼프 관세 충격에…2500선 붕괴
- 5이탈리아 수제 천연가죽 소파 ‘인칸토’ 국내 첫 론칭
- 6금호타이어, 산불 피해 복구 동참…구호물품 전달
- 7대구광역시, '광역형 비자’로 5대 신산업 외국우수인재 확보 발판 마련
- 8영남이공대, 학생자치기구 학생 의견수렴 설명회 개최
- 9경산교육지원청, 제46회 경상북도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시 예선대회 개최
- 10대구 북구, 야외 자동심장충격기(AED) 설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