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매운동 제동 걸리나…소셜미디어 연관어 급감

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해 지난 7월 1일부터 빠르게 확산했던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최근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0일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코리아의 버즈워드(언급량) 자료에 따르면 7월 첫째 주부터 9월 둘째 주까지 11주간 소셜미디어에서는 일본제품 불매 관련 게시글이 88만2,388건 작성됐다. 소셜미디어 게시글과 포털뉴스 댓글, 온라인 기사까지 합하면 100만 건 이상의 콘텐츠가 생성됐다. 닐슨코리아 버즈워드는 온라인 블로그, 카페, 게시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포털 뉴스사이트, 댓글, 동영상 사이트 등에서 발생한 게시글을 1일 단위로 실시간 수집해 빠르게 확산하는 온라인 버즈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솔루션이다.
일본제품 불매 관련 게시글 수는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제외 결정 직전인 7월 넷째 주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서서히 감소하며 최근 약 1만8천건의 게시글만 확인됐다. 닐슨코리아는 “7월 초부터 클리앙과 보배드림 등 대형 커뮤니티 이용자를 통해 불매 목록과 사이트, 로고 등이 만들어진 뒤 다른 커뮤니티와 개인 채널을 통해 빠르게 정보가 확산하면서 불매운동이 시민단체 주도가 아닌 국민의 자발적인 참여 형태로 전개됐다”고 밝혔다. 닐슨코리아는 “현재 이슈가 완전히 소멸하지는 않고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슈 소강기에 접어들기는 했지만 9월 둘째 주 불매운동 버즈량이 다시 상승한 것을 보면 일부 커뮤니티와 적극적인 보이콧 참여자들 사이에서 장기적으로 불매운동이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한편, 7월부터 지난 15일까지 불매운동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품목은 ‘여행’으로 21만3,432건이었고, 맥주(9만4,631건), 자동차(7만3,549건)가 뒤를 이었다. 다음은 필기구(6만3,894건), 화장품(4만3,158건), 식품(2만8,160건), 카메라(2만3,644건) 순이었다.
닐슨코리아는 “하절기 매출이 급락하고 마케팅 활동을 소극적으로 할 수밖에 없었던 일본 브랜드들은 가을·겨울 시즌을 맞아 분위기를 쇄신하려고 고삐를 다잡고 있다”며 “국내 브랜드들도 일시적 반사이익을 누렸던 것에 그치지 않고 확실한 승기를 잡기 위해 질적 성장에 총력을 기울일 전망”이라고 말했다./김혜영기자 jjss1234567@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적십자사 광주전남지사, 국립5·18민주묘지 '비석닦기' 활동
- 2계명문화대, 제2기 외국인 홍보대사 임명식 개최
- 3박원종 전남도의원, 우리동네 복지기동대 활동 이어가
- 4릴슨PE, 현대위아 독립법인 PMI 본격 착수
- 5'광주 매력', 60초 영상으로 전한다
- 6광주시, 'G-페스타 광주' 봄시즌 활짝
- 7광주 남구, '백운광장 금·토 야시장'개장···'골목상권' 활성화 기대
- 8나주시, '202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실시
- 9“교육시설도 입지 경쟁력 중요”…상권 중심 ‘맥캠퍼스’ 눈길
- 10함평군, 생태 교육 공간 '에듀테인먼트파크' 조성 박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