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약품,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국내 임상2상 개시”

제일약품이 자체개발 중인 차세대 위식도 역류질환 질병 치료제(JP-1366)가 국내 임상2상에 본격 착수했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JP-1366의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를 위한 제2상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 받은 제일약품은 연세대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을 포함한 20개 임상기관에서 ‘위식도 역류질환’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본격 임상에 돌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제일약품의 JP-1366은 지난 2017년 보건복지부의 첨단의료기술개발 신약개발지원 과제로 선정돼 20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개발에 나섰다.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P-CAB) 기전으로 개발 중인 JP-1366은 지난해 완료한 임상 1상에서는 약물의 경구 투여 후 안전성, 내약성, 약동약력학적 특성 등에서 신속한 약효 및 뛰어난 지속성을 입증하며 기존의 프로톤펌프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이하 PPI) 기전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신약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최근 위식도 질환 시장 내 가장 널리 쓰이던 치료제인 ‘라니티딘’이 발암 물질 우려로 판매 금지 처분 상태에 처하면서, 현재 대체제로 사용되는 PPI 기전 치료제는 느린 약효 발현과, 야간 산 분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탓이다.
회사 측은 내년까지 국내 임상2상 완료를 목표로, 유럽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임상1상도 함께 병행해가며 기술 수출 등 다양한 사업 가능성을 고려해 가겠다는 방침이다.
제일약품 관계자는 “오늘 날 다수 제약사들이 임상시험을 통해 P-CAB 기전이 기존 PPI보다 간편하면서도 효능이 우수하다는 점을 검증하고 있다”며 “앞선 비임상에서부터 신약 후보물질로써의 높은 가능성을 보인 JP-1366은, 현재 제일약품이 개발 중인 뇌졸중 치료제(JPI-289), 표적항암제(JPI-547) 등과 함께 또 하나의 블록버스터급 신약 후보 물질로 자리잡았다”고 기대했다.
한편, 관련 업계에 따르면 위식도 역류질환의 국내 시장규모는 약 1천억 원 규모로,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5조 원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배요한기자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보험연 "車보험 손해율 급등…실손초과 보험금청구 억제해야"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