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재팬 100일] “일본차 타기 싫어”…판매 두달째 ‘반토막’
[앵커]
일본의 수출규제가 시행된 지 어느덧 100일이 지났습니다. 세 달 동안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 브랜드 점유율은 5%대까지 떨어졌는데요. 불매운동이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 데다 최근 8자리 새 번호판 제도가 도입되며 감소세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보도에 정새미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자동차 내수 판매가 8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일본 자동차 브랜드는 두 달 연속 지난해의 반 토막 실적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놓은 9월 자동차산업 동향(잠정치)을 보면, 렉서스·토요타·혼다·인피니티·닛산 등 일본차 5개 브랜드가 판 차량은 1,103대에 불과했습니다.
지난 해 같은 달과 비교했을 때 약 60% 급감한 수치입니다.
특히 수출규제가 시행되기 직전 달인 지난 6월 판매량은 약 3,900대로 국내 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규제가 시작된 7월에는 판매량이 한 달 만에 1,000대 이상 감소했습니다.
이후 판매량은 꾸준히 줄어 8월에는 약 1,300대까지 내려앉았습니다.
브랜드별로는 혼다의 감소율이 82.2%(166대)로 가장 컸습니다.
이어 인피니티 69.2%(48대), 닛산 68.0%(46대), 토요타 61.9%(374대), 렉서스 49.8%(469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일각에서는 판매량이 월 1000대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도 제기됐습니다.
일본차 브랜드가 파격 할인에 나서는 등 실적 회복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한일 갈등이 좀처럼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더욱이 지난달부터 도입된 ‘8자리 번호판 제도’가 불매운동 중 차량을 구매했다는 일종의 ‘낙인효과’를 불러와 구매를 꺼리는 소비자들이 더욱 많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인터뷰] 김필수 /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번호판이 8자리가 되면서 실질적으로 8자리를 붙인 일본차의 경우는 최근 구입했다는 뜻이기 때문에 당분간 이러한 일본차의 감소세는 더욱 커질 것이고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정새미입니다. / jam@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부, 폴란드 K2전차 수출에 '사상 최대' 9조원 규모 지원
- OPEC+ 8월 원유 생산량 하루 54.8만배럴 증산 합의
- 국민취업제도 5.5만명 추가 지원…노동부 추경 1652억 투입
- LH, 오는 7~9일 청년·신혼 매입임대 4190가구 청약 접수
- 현대백화점 그룹 6개사, ESG 평가 '베스트 100' 선정
- 삼성물산·현대건설, 자율주행 자재 운반 로봇 공동개발
- 비경제활동청년 17%는 '캥거루족'…일할 의지도 '뚝'
- 금값 오르니 10K 이하 가성비 쥬얼리 '인기'
- 서울 부동산 계약 취소 속출…일단 '관망세'
- 작년 폐업자 사상 처음 100만명 돌파…소매업·음식점이 절반 수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정부, 폴란드 K2전차 수출에 '사상 최대' 9조원 규모 지원
- 2‘트럼프法 반기’ 머스크, '아메리카당' 통할까
- 3OPEC+ 8월 원유 생산량 하루 54.8만배럴 증산 합의
- 4국민취업제도 5.5만명 추가 지원…노동부 추경 1652억 투입
- 5LH, 오는 7~9일 청년·신혼 매입임대 4190가구 청약 접수
- 6현대백화점 그룹 6개사, ESG 평가 '베스트 100' 선정
- 7삼성물산·현대건설, 자율주행 자재 운반 로봇 공동개발
- 8비경제활동청년 17%는 '캥거루족'…일할 의지도 '뚝'
- 9금값 오르니 10K 이하 가성비 쥬얼리 '인기'
- 10서울 부동산 계약 취소 속출…일단 '관망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