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은행, 키코 손실액 최대 41% 배상”

[앵커]
외환파생상품 ‘키코(KIKO)’ 피해 사태가 발생한 지 11년 만에 은행들이 최대 41%를 피해 중소기업에게 배상하라는 금융당국의 분쟁조정 결과가 나왔습니다. 불완전판매에 따른 손해 배상책임이 인정된다고 본 겁니다. 유민호기자입니다.
[기자]
11년을 끌어온 키코 사태가 일단락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분쟁조정 결과 키코 판매 당시 은행들의 불완전판매가 있었다고 인정하고, 피해기업 손실액의 최대 41%를 배상하라고 결정했습니다.
일성하이스코·남화통상 등 기업 4곳과 이들이 가입한 키코 상품을 판매한 은행 6곳이 이번 분조위 조정 대상입니다.
은행들이 이들 4개 기업에 배상해야 할 금액은 총 256억원입니다.
기업별 배상 비율은 각각 15%(2곳), 20%, 41%로 평균 23%였습니다.
분조위는 은행들의 불완전판매에 따른 손해 배상책임이 인정된다고 봤습니다.
은행들이 계약을 체결할 때 예상 외화유입액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거나, 과도한 규모의 환 헤지를 권유해 적합성 원칙을 위반했다고 판단한 겁니다.
키코는 환율이 일정 범위에서 변동하면 약정한 환율에 외화를 팔 수 있으나 범위를 벗어나면 큰 손실을 보는 구조의 파생상품입니다.
수출 중소기업들이 환위험 헤지 목적으로 가입했다가 2008년 금융위기 때 환율이 급변동해 피해를 봤습니다.
이번 결정은 지난해 7월 윤석헌 금융감독원장 취임과 동시에 금감원이 키코 사건 재조사에 착수한 이후 약 1년 5개월 만입니다. 서울경제TV 유민호입니다. /you@sedaily.com
[영상취재 오성재 /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시몬스, 비건 펫 매트리스 '콘래드 서울' 객실 비치
- 2광주교통공사, '신규 인력 채용 용역'...돌연 중단한 까닭은?
- 3대진첨단소재, IR·PR 총괄로 김성권 상무 영입
- 4줄리아나리앤파트너스, ‘CES 2026 혁신상 수상 전략 세미나’ 개최
- 5더 시에나, 세라지오GC 인수 완료…관광·레저 복합 기업 도약
- 6온잇코리아, 중기부 ‘창업 도약 패키지’ 선정…“B2B 물류 서비스 고도화”
- 7비욘드뮤직, 일본 스타트업 UTAGE3.0과 MOU 체결
- 8한국중등교장협의회, 베스트텍과 함께 AI·XR 기반 미래교육 연수
- 9방광암 재발, ‘소변 산성도’ 로 예측한다
- 10삼성바이오에피스-한미약품, 골다공증 바이오시밀러 '오보덴스' 국내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