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랩스 자회사 메타약품, EGF 약학적 조성물 특허권 취득
메타랩스가 손자회사 메타약품을 통해 바이오·코스메슈티컬 사업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시장의 의약품보다 효능이 개선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특허를 메타약품으로 이전해 관련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설명이다.
메타랩스는 최근 특허 등록이 결정된 ‘열 안정성이 확보된 상피세포 성장인자 함유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특허’를 메타약품에 이전하는 것을 결정했다. 지난해 확보한 기본 특허를 바탕으로 그 적용 대상을 약학적 조성물로 확대한 것으로 메타약품은 일반 상처치료제에서 당뇨성 족부궤양 치료제까지 개발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게 됐다.
EGF(상피세포성장인자)는 세포의 생리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한 종류로 위궤양, 각막, 상처 등의 치료제 원료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지만 열에 매우 취약해 EGF를 주 원료로 하는 치료용 의약품은 생산, 유통, 보관 등 모든 단계에서 냉장 상태를 유지해야 제 효능을 발휘하는 것이 현실이다.
회사관계자는 “이번 특허는 EGF 의약품 또는 화장품 제조와 유통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이번 특허 조성물을 활용한 의약품 개발을 위해 기술이전, 제휴, 제조사 설립 등 다양한 옵션을 검토 중이다” 라고 전했다.
또 메타랩스는 EGF의 생체내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베소좀 관련 세계 최초 특허 기술을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전태준 교수팀으로부터 확보 후 메타약품에 이전을 완료했다.
일반적으로 리포좀은 생물학적 제제의 캡슐화(encapsulation)화를 통해 물질 침투력을 향상 하는데 널리 쓰이며 이번에 이전 받은 특허 기술은 리포좀 뿐만 아니라 개별적으로 제작된 리포좀들을 하나의 구조물로 만드는 베소좀(vesosome)을 세계 최초로 자동화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약물전달 및 기능성 화장품 관련 사업 차별화에 유리하다.
회사 관계자는 “메타약품이 확보한 기술은 상처치료, 피부개선 물질인 EGF를 일반적인 사용성을 높이면서 실제 생체내 전달력까지 높인 것으로 상처치료제에서 모발이식수술 환자용 의료기기, 탈모케어 제품, 기능성 마스크팩 등 그 활용 및 응용 범위가 크다” 라며 “NCL, Vant36.5 등 메타랩스 브랜드 제품의 차별화에도 시너지를 낼 수 있게 됐다” 라고 전했다.
현재 메타랩스는 이번에 취득한 특허 외에 EGF 함유 의약품 및 화장품 조성물 관련 특허 3건과 신규 미백 물질 관련 특허 1건 등 총 4건의 출원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한편 마켓워치(Market Watch)에 따르면 세계시장에서 EGF 원료시장 규모는 2019년 현재 110백만 달러(1281억원) 규모로 형성되어 있고, 2024년도에는 140백만 달러(1631억원)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 현대해상, 작년 순익 1조307억원 '역대 최대'…전년比 33.4%↑
- 한화손보, 작년 순이익 3823억…전년 대비 31.5%↑
- [부고]최철규(저축은행중앙회 경영지원부장)씨 부친상
-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2조원대 '최대 규모' 해킹…"北 소행"
- 2금융 가계빚 7조원 폭증…풍선효과 '경고음'
-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기업이 주주에게 돌려드립니다
- 호실적 행진에도 킥스 ‘발목’…보험사 자본확충 부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토부 "수도권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 0.2%p 추가 인상"
- 2쿠팡, 우수 PB 중소협력사 시상식 개최
- 3챗GPT 국내 주간이용자 200만 넘겨
- 4기재1차관, 26∼27일 G20회의 참석…경제협력 논의
- 5박균택 의원, 시민과 소통강화 '광산 동네한바퀴' 민생탐방 '눈길'
- 6전남도, 독특한 매력 지닌 이색 회의장소 ‘유니크베뉴’ 공모 나서
- 7광주 명품 특산물 ‘무등산 수박’, 옛 명성 되찾는다
- 8대한상의 "국민 55% 미장 선호...기업 혁신성 때문"
- 9기장군민축구단, 올해 K4리그 첫 데뷔전서 아쉬운 패배
- 10김정오 박찬대 원내대표 정무특보, 담양군수 재선거 출마 행보 본격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