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 합의 낙관론, 중국발 호재 여전

[앵커]
2019년 증시도 단 하루만을 남겨놓고 있습니다. 배당락일을 맞아 금요일 증시는 장 초반 조정이 있었지만, 저가매수에 상승 전환하며 2200선을 회복했습니다. 미중간의 무역분쟁 낙관론이 여전한 가운데 중국의 지준율 인하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는데 한 주간의 증시 흐름, 앵커레포트에서 정리해 드립니다.
[기자]
이번주 코스피는 배당락 일을 맞았지만 저가 매수가 꾸준히 유입되며 지난주와 같은 2024.21P, 보합권에서 마감됐습니다.
코스닥은 한주간 1.77%가 오르며 661.24P에 거래를 종료했습니다.
거래소는 기관이 2767억원을 팔았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1897억, 667억원을 순매수하며 시장을 방어했고, 코스닥 역시 기관이 426억원을 매도했지만 개인과 외국인이 75억원 437억원을 매수하며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이번 주 시장은 짙어진 관망세와 배당락으로 지수 변동은 적었지만, 상승 기대감은 여전하다는 평갑니다.
미·중 1차 무역협상과 관련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서명식을 가질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지고 있는데, 이는 최종 서명을 내년 1월 첫째 주에 이뤄질 것이란 전망보다 더 앞당겨 질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런 가운데 리커창 중국 총리가 실질 금리와 금융비용 인하 방법을 연구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지준율 인하를 비롯한 중국의 온건한 통화정책과 인프라 투자 기대감이 높아진 점 역시 한국 증시에 긍정적 요인으로 꼽힙니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이 동생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의 그룹 운영에 제동을 걸고 나서며 이른바 ‘남매의 난’이 시장의 화두였습니다.
회사는 시끄러울 수 있겠지만, 내년 3월 주총을 앞두고 우호지분을 확보하려는 경쟁이 일어날 것이란 기대에 관련주들은 급등락을 보였습니다.
특히 한진칼우선주와 대한항공 우선주는 각각 66.3%, 23.7%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다만, 현 주가가 직전 고점을 돌파한 부분과 이번 분쟁 이슈가 장기화 되며 집안 싸움이 격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있는 만큼 현 구간 추격 매수에는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신약개발업체인 장외기업 비보존이 임상3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 도출에 실패한 것으로 나타나며 관련주들의 급락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비보존에 대한 지분을 22.99%를 보유한 텔콘RF제약과 4.6%를 보유한 에스텍파마가 급락하며 제약바이오 업종 투심을 위축시켰습니다.
이제 2019년 폐장까지 단 1거래일 만을 앞둔 우리 시장입니다.
미중간의 무역분쟁 1차 합의 이행 기대감과 주요 지표 개선, 중국의 경기 부양책 발표 등으로 다음 주 증시는 소위 1월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서울경제TV 서정덕입니다. /enews2@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더핑크퐁컴퍼니, '베베핀·씰룩' 일본 5대 지상파 TV 진출
- 마스턴투자운용, 상업용 부동산 분석 담은 ‘마스턴 인사이트’ 공식 런칭
- 미건라이프사이언스, 보급형 척추온열기 '리본라이트' KC인증 획득
- 나라셀라, 하반기 '온·오프 채널' 공급 물량 확대
- BNK부산은행, 추석 맞아 '부산역·진영휴게소 이동점포' 운영
- 강태영 NH농협은행장 "추석 연휴 기간 사이버 보안 총력"
- BNK신용정보, 추석 맞아 '행복한 희망나눔' 행사 실시
- 토스증권, 추석 연휴부터 미국주식 배당금 '공휴일 지급' 정례화
- KB금융, KMI한국의학연구소·쿠팡이츠서비스와 '찾아가는 건강검진' 시행
- KB증권, 추석 맞아 취약계층 어르신에게 '情 든든 KB박스' 전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해남군, AI 데이터센터 최적지로 '솔라시도' 급부상
- 2“무분별한 디지털정보,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 교육해야죠”
- 3김한종 장성군수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의 굳건한 근간"
- 4조용익 부천시장, 부천시민의 날로 시민과 소통하다
- 5인천시의회, 의료계와 머리 맞대고 ‘통합돌봄’ 실현 모색
- 6인천시, ‘아이플러스 집 드림’으로 신혼 주거 안정 나선다
- 7수원특례시,㈜보령과 민선 8기 22호 투자협약 체결
- 8연천군, 수소열차 실증노선 확정…2027년 시험 운행
- 9구리시, 지역경제 활성화 852억 투입…6대 분야 지원 본격화
- 10공영민 고흥군수 "청렴, 공직자가 지켜야 할 기본 원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