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명절에 심장마비 가장 많다…'하루 60명 최고조'"

국내 연구진이 평상시 휴일이나 공휴일보다 명절 연휴 때 유독 심정지(심장마비) 환자가 많고, 사망률도 높다는 빅데이터 연구 결과를 내놨다.
메디플렉스 세종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전기현·권준명·오병희)은 2012∼2016년 전국 응급실을 찾은 ‘병원 밖 심정지’ 13만9,741건 중 자살을 제외하고, 내과적인 질환으로 심정지가 발생한 9만5,066명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22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대한심장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Korean Circulation Journal) 최근호에 발표됐다.
해당 기간 중 총 43일의 설·추석 연휴에 2,587명의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다. 명절 연휴에 하루당 60.2명이 심정지로 쓰러진 셈이다. 이는 같은 조사 기간 중 평일(1,243일), 주말(491일), 공휴일(50일)에 발생한 심정지 환자가 하루당 각각 51.2명, 53.3명, 52.1명인 것과 비교해 매우 높은 수치다.
명절에는 병원 도착 전 사망률(78.3%)뿐만 아니라 병원에 입원한 후에도 다른 그룹보다 사망률이 높았다. 명절 심정지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을 1로 봤을 때 대조군의 사망률은 평일 0.7, 주말 0.7, 공휴일 0.8등으로 20% 이상 큰 차이를 보였다.
명절 연휴 중에서도 심정지는 명절 전이나 당일보다 끝자락(연휴 셋째 날)에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특히 음력이어서 매년 날짜가 달라지는 설과 추석을 다른 해의 동일한 양력 날짜와 비교했을 때도 명절 연휴의 높은 심정지 발생 양상은 뚜렷했다.
명절에 발생하는 심정지는 낮과 저녁에 더 빈번했다. 시간대로는 오전 7∼10시에 가장 큰 1차 피크가, 오후 5∼7시 사이에 2차 피크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명절에 심정지 발생이 많은 이유로 ▲ 긴 연휴로 인한 병원 접근성의 감소 ▲ 명절 스트레스 증가 ▲ 과도한 알코올 섭취 ▲ 수면, 각성 주기, 신체 활동 등 행동 변화 등을 꼽았다.
연구책임자인 전기현 세종병원 심장내과 과장(임상연구실장)은 “한국인은 명절이 되면 더 게을러지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등 생활 패턴이 갑자기 바뀐다”면서 “이런 변화는 심뇌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나쁘게 작용할 수도 있는 만큼 명절에도 기본적인 생활리듬을 지키면서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주변 응급의료기관을 살피고, 주변 가족은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요령을 익혀두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자수첩] 지역경제의 버팀목 강원랜드… 규제의 굴레를 벗을 때다
- 강원랜드, 수의계약 절반 넘어 … "공기업 계약제도 전면 손질 필요"
- 여순사건 77주기 합동추념식, “그날의 아픔…이제는 대한민국이 함께 합니다”
- [인사]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 [제20회 순창장류축제 DAY 3][포토] 순창고추장 임금님께 진상하다
- [2025 남원 가을 3대축제][포토] 드론·로봇·풍류가 어우러진 남원
- 장성군, 황룡강 가을꽃축제 '대박'...지역 경제·문화 활력 UP
- IWPG 원주지부, 평화공감 좋은말 캠페인 진행
- 남원 하늘에 띄운 미래…남원국제드론제전 주말 열기 '최고조'
- 김한종 장성군수 "가을의 절정, 황룡강 가을꽃축제 방문 환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