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입주 2년차 새 아파트 전셋값 1억원 상승

서울의 입주 2년차 신축 아파트 전셋값이 1억원 넘게 올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31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입주 2년차 서울 아파트의 가구당 평균 전셋값은 2018년 12월 6억8,600만원에서 지난 13일 기준 1억400만원(15.2%) 오른 7억9,000만원으로 조사됐다. 서울 전체 가구당 평균 전셋값은 같은 기간 1,500만원 오른 4억7,700만원이다. 서울에서 새 아파트의 전셋값이 전체 평균의 1.6배, 가격 인상 폭은 평균의 7배인 셈이다.
특히 강남권 3구(강남·서초·송파구) 새 아파트의 전세보증금은 1억원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송파구는 2018년 12월 평균 6억9,575만원에서 올해 1월 평균 9억109만원으로 2억534만원(29.5%) 상승했다. 같은 기간 강남구는 1억1,870만원(11.7%), 서초구는 1억1,160만원(9.3%) 올랐다. 이달 기준 강남구와 서초구의 입주 2년차 새 아파트 전셋값은 각각 11억3,400만원, 13억1,646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미윤 KB국민은행 부동산플랫폼부 전문위원은 “올해 서울에서 청약 대기, 집값 부담에 따른 전세 선호, 재개발·재건축 이주 등이 겹쳐 전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전세매물 부족에 따른 국지적인 전셋값 상승세를 보이면서 ‘반전세’(전세보증금+월세)나 월세 계약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한항공 정비센터 공사장서 무너진 합판에 맞아 40대 중상
- 최태원 “메가 샌드박스 만들자”…미래산업포럼 발족
- ‘10주년’ 솔루엠, 전장 사업 강화…“매출 3조 목표”
- KF-21 기술유출 수사 ‘표류’…KAI, 인니 대신 UAE?
- 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 집중…“가성비 전략 한계”
- ‘K배터리’, 생존 전략 다시 짠다…ESS서 활로 모색
- 악성 미분양, 11년만 ‘최대’…건설사 줄도산 공포
- LG전자, 3년 만에 ‘전기車 충전기’ 사업 철수
- 타이완관광청, '2025 타이완 B2B 관광설명회' 개최
- 코넷, 고팍스 KRW 마켓 상장…독자 메인넷 기반 국내 시장 진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