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2,000달러…전년 比 4.1% 감소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전년보다 4.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와 같은 2.0%를 기록했고, 작년 4분기 성장률은 1.3%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올라갔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달러화 기준)는 3만2,047달러로 3만3,434달러를 기록한 전년 보다 1,387달러 줄었다. 명목소득이 실질소득을 밑돈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표시 소득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3,735만6,000원이었다.
한은은 또한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를 지난달 발표한 속보치와 동일한 연 2.0%라고 발표했다. 반면 작년 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3% 성장해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 등이 하향 조정된 반면 설비투자, 건설투자, 민간소비가 상향 조정된 영향이다.
지난해 명목 GDP는 1,914조원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0.9%를 기록한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명목 GDP 성장률 둔화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탓이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0.9% 하락하며 지난 1999년 이후 20년 만의 첫 하락을 기록했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수출 디플레이터가 크게 하락하면서 GDP 디플레이터를 끌어 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총저축률은 34.6%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해 2012년 기록한 34.5%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성훈 인천교육감, 허종식 의원과 공간재구조화 사업 논의
- 보성군 선관위, 보성군수 거론 A씨 '사전 선거운동' 혐의로 검찰 고발
- 황경아 남구의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선임
- 해남군, AI 데이터센터 최적지로 '솔라시도' 급부상
- “무분별한 디지털정보,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 교육해야죠”
- 김한종 장성군수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의 굳건한 근간"
- 조용익 부천시장, 부천시민의 날로 시민과 소통하다
- 인천시의회, 의료계와 머리 맞대고 ‘통합돌봄’ 실현 모색
- 인천시, ‘아이플러스 집 드림’으로 신혼 주거 안정 나선다
- 수원특례시,㈜보령과 민선 8기 22호 투자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