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대에 은행 예금 금리 인하 움직임
시중보다 지방은행 인하폭 커…대구은행, 0.47%

[서울경제TV=윤다혜기자] 기준금리 제로금리 시대로 접어들면서 은행들이 수신금리 인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방은행들의 인하 금리 폭이 0.50~0.60%p로 시중은행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기준금리 인하분을 반영하지 않은 은행들은 고객 이탈 우려 등으로 금리 인하 시점과 인하 폭을 두고 고민 중이다.
한국은행이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치인 연 0.75%로 0.5%p 인하하자 절반 정도의 은행들이 예적금 금리에 기준금리 인하분을 반영했다. 23일 전국은행연합회와 은행권에 따르면 지방은행의 주요 예금 상품 금리를 하향 조정 폭이 일반 시중은행보다 컸다.
DGB대구은행은 예금 상품인 DGB주거래우대예금 기본금리가 6개월 기준 0.47%, 1년 기준 0.81%다. IM예금도 1년 기준 기본금리가 0.81%다. e-U 예금은 6개월 기준 0.52%, 1년 기준 0.86%다. 광주은행도 인하 폭이 크다. 플러스다모아예금 기본금리는 6개월 기준 0.63%, 1년 기준 0.90%로 0%대다. 스마트모아DREAM 정기예금도 6개월 기준 0.73%로 1년 기준으로 해야 1.0%의 기본금리를 받는다. BNK경남은행 매직라이프정기예금도 1년 기준 기본금리가 0.80%로 0%대 진입했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이 금리 인하 폭이 컸다. 우리은행 정기예금 상품인 'WON 예금'은 기본금리가 0.60%(6개월 기준), 0.65%(1년 기준) 수준이다. 이 상품은 지난달만 해도 1.0%대 기본금리가 적용됐었다.
하나은행은 하나머니세상 정기예금도 기본금리가 0.80%(6개월)으로 0%대 금리다. 1년 기준시 1%대 금리를 이용할 수 있다. 지난달 보다 0.25%p 인하한 것이다. 신한은행 정기예금 상품인 '신한 S드림'과 쏠편한 정기예금은 기본금리 6개월 기준 1%, 1년 기준 1.10%다. 기준금리 0.50%p로, 기존 1.35% 기본금리에서 0.35%p 낮아진 것이다. 국민은행은 '국민수퍼정기예금'의 금리를 구간별로 0.1%p씩 인하해 1년 만기 상품의 금리는 최대 1.05%에서 0.95%로 낮아졌다. NH농협은행 NH왈츠회전예금II은 6개월 기준 기본금리 0.93%로 1년으로 해야 1.17%를 받을 수 있다.
시중은행, 지방은행 등 대부분 은행들이 적금 상품은 아직 기본금리 1.0%대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달 초부턴 변동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 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 분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반영시점을 미룰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은행들도 기준금리가 0.5%p 낮아지면서 이자이익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순이자마진(NIM)이 1.46%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10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을 때도 은행들도 금리를 낮춘 것이 반영됐다. 이달 기준금리 0.50%p 낮췄기 때문에 NIM은 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로 은행은 NIM과 투자수익률이 하락될 수밖에 없다"며 "이익 창출 능력이 크게 훼손돼 부정적 측면이 큰 상황"이라고 말했다. /yund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 퀸잇, '2025 럭퀸세일' 론칭…블랙프라이데이 대전 시작
- 토스뱅크, 고령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의료원, 장수 번암면서 의료봉사 펼쳐…주민 건강 직접 챙겨
- 2남원시, 제30회 농업인의 날 '시민과 함께하는 대잔치' 열린다
- 3"100년 된 종이지적, 남원이 다시 그린다" 지적재조사사업 추진
- 4임실군, '2026년 귀농·귀촌 정착 지원사업' 신청 접수
- 5장수군, 청년농업인에게 매달 최대 110만 원 지원
- 6최영일 순창군수, 국회서 '농어촌기본소득 국비 80% 상향' 건의
- 7김치 맛도, 참여 열기도 '아삭'…임실 김장페스티벌 흥행 예고
- 8국립강원전문과학관, 전국 최초 의료·생명 특화 원주 개관
- 9'문화가 답이다' 전해갑 건축가, 국립민속국악원 다담 무대 오른다
- 10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가수 정삼·이청아씨 '위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