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건보료 납부액 기준에 무게…고액재산가 ‘컷오프’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인 소득 하위 70%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거론되고 있다.
1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 등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재난지원금 지급 선정선과 대상자 기준을 정해 늦어도 다음 주 중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소득을 포착하는 현실적 기준은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과 국세청 과세소득 자료, 건보료 납부액 등이 있다”며 “이 중 가장 최근 상황을 대변하고, 소득 기준 줄 세우기가 제대로 되는 것은 건보료 납부액밖에 없다”고 말했다.
건보료는 가입자의 소득과 재산을 바탕으로 산정한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근로소득에 0.0667%를 곱해 산정한다. 지역가입자의 경우 사업·근로·이자·연금 등 소득과 주택·토지·자동차 등 재산을 기준으로 삼는다. 직장가입자는 소득이 투명하게 다 드러나 소득만을 기준으로 하지만, 지역가입자는 신고 소득 외에는 포착하기가 어려워 재산을 함께 반영한다. 정부 관계자는 “건보료 산정 시 직장가입자는 소득은 뚜렷한데 재산을 감안하지 않고, 지역가입자는 재산은 감안하지만 소득은 포착이 불안한 부분이 있어 둘 다 약간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동산 등기부등본이나 국세청 과세자료, 금융거래내역 등을 바탕으로 부동산이나 금융재산을 어느 정도 이상 가진 사람 등 일부를 지급대상에서 ‘핀셋’으로 컷오프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소득수준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를 소득순으로 일렬로 줄 세웠을 때 가구원 수별 하위 70%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이다. 정부는 가구원 수별 소득 경곗값을 정해 다음 주 중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중위소득 150% 초과 가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9.1%인 점을 감안하면, 소득 하위 70%는 중위소득 150% 이내로 수렴할 가능성이 크다. 중위소득 150%는 1인가구 기준 264만원, 2인가구는 449만원, 3인가구는 581만원, 4인가구는 712만원 수준이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은 전날 KBS라디오에 출연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기준과 관련 “(소득 하위) 70% 정도 되면 중위소득 기준으로 150%가 되고, 이는 (4인 가구 기준) 월 710만원 정도 수준이므로 (기준선이) 그 언저리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으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기준을 마련한 뒤 재난지원금 지급에 들어가는 재원 9조1,000억원 중 80%인 7조1,000억원을 시·도에 지급할 예정이다. 재난지원금 대상자 발굴은 시장·군수·구청장의 위임을 받은 읍·면·동에서 개별 신청을 받아 확인을 거쳐서 하게 된다. 정부는 현장에서 줄을 서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온라인 창구를 열어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수원특례시, 통학로 안전위해 대응체계 강화
- 윤환 인천 계양구청장, 기관 협력으로 지역 발전의 길 열다
- 파주시의회, “아동안전망, 하교시간 중심으로 재정비해야”
- 기후급식 …지속가능한 학교급식 위한 소통의 장
- 평택시 안전한국훈련 '2025 시민과 함께'
- 김포, '식품 시리즈 출시'…세계에 김포쌀 우수성 알린다
- 장수광장서 즐기는 가을의 한잔…'막걸리 체험 페스타' 25일 개최
- 김한종 장성군수 "역사·매력 간직한 마을축제에 많은 관심을"
- 국립민속국악원, 남원의 밤 물들인 '광한루원 음악회' 성료
- 서부지방산림청, 가을철 산불대응 강화…전문인력 400명 투입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은 기준금리 2.5% 동결…집값·환율 불안 영향
- 2LCC 슬롯 전쟁…티웨이항공, 사업 다각화 속도
- 3네카오, 3분기 실적 ‘맑음’…장기 성장 ‘미지수’
- 4수가는 낮고 보령도 사업 철수...‘복막투석’ 소멸 위기
- 5강호동 회장 비리 의혹…농협금융 불확실성 확대
- 6'해킹 사고' 정부 고강도 대응…롯데카드 매각 '안갯속'
- 7NXT 참여 증권사 늘자…거래소 ‘수수료 인하’ 맞불
- 8두산건설, ‘10·15 대책’ 후 첫 청약…“비규제 효과 톡톡”
- 9신세계免, 인천공항점 ‘적자’…이석구 신임 대표 시험대
- 10삼성·테슬라, AI칩 동맹 강화…머스크 “삼성과 AI5 생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