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급등에도 렘데시비르 논란에 뉴욕 증시 혼조세 마감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로 기대를 모았던 미국 제약업체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 치료제 ‘렘데시비르’가 임상 시험에서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보도가 나오며 뉴욕 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23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9.44포인트(0.17%) 오른 2만3,515.26에 마감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51포인트(0.054%) 하락한 2,797.80에 마쳤다.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은 0.63%포인트(0.0074%) 하락하며 8,494.75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현지시간 23일)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즈(FT)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서 초안을 토대로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치료이 실패했다고 보도했다. 임상시험 실패 소식에 길리어드의 주가는 장중 6% 급락했다.
길리어드는 즉시 임상시험이 저조한 참여로 초기에 종료돼 유의미한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며 보도 내용에 대해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으로 미국과 이란과의 군사적 갈등이 수면위로 올라오며 국제유가의 반등이 이어졌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서부 텍사스산 원유) 6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배럴당 2.72달러(19.7%) 상승한 16.5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19.1% 급등한 데 이어 2거래일 연속 반등이다.
한편, 이날 미국 의회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4,840억 달러(596조원) 규모의 4단계 예산 지원 법안을 처리했다. /smileduck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닥도 매수 사이드카 발동…코스닥150선물 6% 급등
- DB생명, ‘2024 연도상’ 시상식 개최
- [개장시황] 美 관세유예에 코스피, 매수 사이드카 발동
- 우리은행 여의도북지점 포함 7개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
- 코스피시장 매수 사이드카 발동…코스피200선물 5% 급등
- 코스피, 美상호관세 유예에 5% 넘게 상승…2400선 회복
- 신한은행, 스테이블 코인 기반 韓·日 해외송금 실증 실험 참여
- 하나카드, MG새마을금고 프리미엄 PLCC 'MG+ BLACK 하나카드' 출시
- 205억 금융사고 터진 농협은행…이찬우 농협금융 회장 "고객 신뢰 없이 미래 없다"
- 다올투자, '4조원 기술수출' 에이비엘바이오 목표주가 54%↑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