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코스피, 1,930선 안착…외인 다시 ‘매도’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 외국인의 매도 속 오늘 코스피 지수는 1,930선에서 마감됐다. 경제 활동 재개 기대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며 간밤 뉴욕증시 훈풍으로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상승 출발했지만, 이렇다 할 상승과 하락의 방향성을 찾지 못한 채 장을 마쳤다. 다만, 황금연휴를 앞두고 보복 소비 기대감에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다.
28일 코스피 0.44% 오른 1,931.25에서 출발했다. 이후 오전 장에서 하락 전환해 1,910대 초반까지 밀렸지만, 오후 들어 상승 흐름을 되찾았다. 이로써 이틀째 상승세를 보이며 이날 코스피 지수는 11.32p(0.59%) 오른 1934.09로 장을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226억원 순매수, 개인도 844억원 사자에 나섰다. 반면, 외국인은 하루만에 다시 팔자로 돌아서 1,258억원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유통업(+2.59%)과 건설업(+2.23%) 등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운수창고(-1.18%)와 의약품(-0.76%) 등이 약세를 보였다. 상승 종목은 487개, 하락 종목은 343개, 보합 종목은 67개로 나타났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유럽의 경제 재개 기대감은 유지됐으나, 국제유가 하락세 속 한국의 이달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4% 가량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 등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진단했다.
상승 출발한 코스닥 지수는 외국인이 매도 규모를 키우며 1%대까지 밀리다, 장 후반 낙폭을 만회하며 소폭 하락으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거래일(646.86)보다 1.93p(-0.30%) 내린 644.93으로 하락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1,255억과 589억을 각각 팔자세를 보이며 하락장을 주도했다. 반면, 개인은 나홀로 1,993억원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방송서비스(+4.25%)와 통신방송서비스(+3.22%) 등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운송(-2.13%)과 제약(-1.31%) 등이 약세를 보였다. 상승 종목은 531개, 하락 종목은 686개, 보합 종목은 106개로 나타났다.
눈에 띄는 부분은 긴 연휴를 앞두고 보복 소비 기대감에 소비, 여행, 호텔 등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롯데그룹 지주회사 롯데지주는 29.97% 오른 3만 7,300원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우선주인 롯데지주우 도 29.83% 오른 6만 4,200원의 상한가로 장을 마쳤다. 노랑풍선(25.5&%), 참좋은여행(7.71%),모두투어(7.69%) 등 국내여행 수요 회복 기대감에 여행주 등도 강세를 보였다. 호텔신라(4.86%), 파라다이스(4.25%),현대백화점(6.52%), 신세계(3.13%) 등도 상승세를 보였다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전거래일대비 1.0원 내린 1225.2원으로 장을 마쳤다./jjss1234567@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하나은행·네이버페이·SK브로드밴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해 협력
- 업비트·빗썸,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4분기 전망은 '안갯속'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AI 거품론'에 코스피 3900 붕괴…"검은 금요일"
- 결제 즉시 현장서 리뷰·적립…네이버페이 ‘커넥트’ 출시
- 속도조절에도 불붙은 빚투…반대매매 주의보
- KB국민카드, 제1회 'KB 알레그로 정기연주회' 성료
- BNK부산은행, ‘수영구 사랑의 집 고쳐주기’ 발대식 개최
- 코람코자산운용, 김태원·윤장호 각자 대표체제 출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계기업 안 팔리네"…부실 코스닥社 M&A '냉각'
- 2부천도시공사, 조직 운영 전반 불안정 지적
- 3경기북부 3대 교통현안 ‘동시 지연’…도민 불편 가중
- 4NEXT K: 전북
- 5양양군 7급 공무원, 환경미화원 '갑질 논란' 일파만파...군은 "깊이 송구"
- 6포항시, 직원 소통·화합 행사 개최…취약지역 환경정비와 안전 배출 홍보도 진행
- 7포항시개발자문위원연합회, 포항에코빌리지 성공 조성 위한 선진지 견학 나서
- 8아태이론물리센터, 아태ai센터 포항유치필요성 논의...공감대 확산 본격화
- 9포항시, ‘2025 해양 모빌리티 안전 엑스포’서 북극항로 특화 전략 선보인다
- 10포항시, 호동근로자종합복지관·건설기능학교 새단장…근로자 복지 인프라 강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