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 대란]① 고객 뺏기 벌어지는데 뒷짐 진 방통위

[앵커]
지난 4월말 알뜰폰협회는 이동통신3사의 알뜰폰가입자 빼가기 중단과 재발 방지책 마련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는데요. 이통3사와 알뜰폰 사이 중재자 역할을 해야할 방송통신위원회가 대처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서청석기자입니다.
[기자]
일부 이통사의 알뜰폰 가입자 빼앗기 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방송통신위원회가 이에 대해 별다른 대처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12월 기준 연도별 알뜰폰 가입자는 2018년까지 증가하다 2019년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4월 가입자 810만명으로 고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감소해 지난 3월에는 고점 대비 약 60만명 줄어든 750만명을 기록했습니다.
알뜰폰 업계는 가입자 감소의 이유로 일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의 불법보조금을 꼽았습니다.
알뜰폰 가입자가 기존 이동통신 MVO로 번호이동을 하면 현금 등 리베이트를 지급하는 이른바 ‘타겟정책’으로 인해 가입자를 빼앗기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실제 2019년 기준 월평균 SKT 13,219명, LGU+ 6,324명, KT 3,502명이 각각 알뜰폰에서 MVO로 번호이동을 한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 MVO업계 관계자는 “시장에서 타업체와 경쟁을 하기위해 타겟정책을 따라할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일부 리베이트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상황이 이렇자 방통위는 지난 3월 타겟정책에 관련한 업체에 구두경고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선 산발적으로 불법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는 상황인데 방통위는 이에 대해 뒷짐을 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싱크] 방통위 관계자
“(구두 경고)이후에 저희들이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은 계속하고 있는데요. 아직 특별하게 조치해야한다, 말아야 한다 결정을 내린 상황은 아닙니다.”
알뜰폰 업계는 과기정통부나 방통위가 중재자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것 같다며 앞으로라도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주길 바란다는 입장입니다.
[싱크] 알뜰폰업계 관계자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런 사태가 재발되지 않는게 제일 중요하다고 보거든요. 재발되지 않도록 과기부와 방통위에서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조치를 취해주시면…”
서울경제TV 서청석입니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CC 슬롯 전쟁…티웨이항공, 사업 다각화 속도
- 네카오, 3분기 실적 ‘맑음’…장기 성장 ‘미지수’
- 수가는 낮고 보령도 사업 철수...‘복막투석’ 소멸 위기
- 두산건설, ‘10·15 대책’ 후 첫 청약…“비규제 효과 톡톡”
- 신세계免, 인천공항점 ‘적자’…이석구 신임 대표 시험대
- 삼성·테슬라, AI칩 동맹 강화…머스크 “삼성과 AI5 생산”
- 푸디스트, 장애인 근로자 고용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
- ‘동국제약과 함께하는 갱년기 극복 동행캠페인’ 성료
-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글로벌 수출 전진기지"
- '꼼수 인상' 교촌치킨, 결국 중량 200g 늘려 원상복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경기북부 산업단지, ‘빈 땅의 10년’
- 2인천시, 교육청·동구와 손잡고 화도진도서관 새단장
- 3경관조명으로 물든 오산시, 70억 원의 투자
- 4인천시의회 조현영 의원, 제3연륙교 개통...송도 주민 혜택 촉구
- 5기장군, 제19회 기장붕장어축제 열린다
- 6인천시, 갈등조정에서 공론화로… 시민 참여 숙의 행정 본격화
- 7인천시, 수도권 규제완화 논의… 지역 역차별 해법 찾는다
- 8문경복 인천 옹진군수 “정확한 통계...정책의 기초”
- 9유정복 인천시장, ‘시민이 묻고 시장이 답하다’ 현장 소통
- 10인천시의회 이단비 의원, 시민 혜택과 소상공인 보호 동시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