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자회사 등 알뜰폰 가세에 시름 깊어지는 중소업계

하지만 알뜰폰 가입자는 10개월 연속 감소세다. 9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는 지난 4월 7,467,66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102,482명)보다 7.8%(634,815명) 감소했다. 전달(7,563,580명)과 비교해도 1.3%(95,913명)가 줄어들었다. 알뜰폰은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에서 점유율 10.77%에 해당된다.
알뜰폰은 지난해 7월부터 감소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6월 8,095,673명을 찍고 △2019년 7월 8,066,747명 △2019년 8월 8,030,007명 △2019년 9월 7,955,872명 △2019년 10월 7,943,009명 △2019년 11월 7,869,230명 △2019년 12월 7,749,516명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올 들어서도 감소세는 이어지고 있다. △1월 7,672,774명 △2월 7,611,640명 △3월 7,563,580명으로, 알뜰폰 중소업체가 시름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중소 알뜰폰 한 관계자는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의 시장점유율은 35%로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중소업계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며 "LGU+ 자회사도 2곳이고 KT도 진출 의사를 밝혀 이렇게 가다보면 알뜰 중소 폰은 없어지지 않을까"라며 우려했다. 이어 그는 "알뜰폰을 위한 법적인 제재조치가 없는 한 중소업계는 힘들다"고 덧붙였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 관계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알뜰폰 진입장벽을 낮춰 등록하면 알뜰폰 사업자로 들어오기 쉽다"며 "이통3사 자회사의 유입이 늘어나면서 사업자들의 알뜰폰 시장이 좁아져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yund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아크테라, 법무법인 린과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MOU 체결
- “K푸드 성장에도 내수 발목”…CJ제일제당, 1분기 실적 ‘뚝’
- 한진칼, 경영권 분쟁 가능성 재점화…역대 최고 주가
- SK, 리밸런싱 ‘속도’…“AI·반도체 중심 재편”
- 재상폐에 펄쩍 뛴 ‘위메이드’…속내는 책임 회피?
- ‘초슬림폰’ 경쟁 본격화…삼성, 갤S25엣지 승부수
- 토허제 재지정 두달…‘과천·성남’ 신고가 속출
- ‘새벽배송 시장 개척’ 컬리, 창립 10년만 ‘첫 흑자’
- 코스맥스, 1분기 영업익 513억원…전년比 13%↑
- 포스코홀딩스, 이차전지소재 사업회사에 1조원 규모 유상증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