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힘모아 서울시 절반 규모 공원 지켰다"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정부와 지자체, 시민이 힘을 모아 사라질 위기에 처한 서울시 면적 절반(310㎢) 규모의 공원 부지를 지켜낸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7월 1일이면 20년간 조성되지 않은 공원이 자동 실효될 예정인 가운데, 실효 대상 368㎢(‘18.1월 기준) 중 84%인 310㎢의 부지가 공원으로 조성되거나, 공원 기능을 유지하게 됐다.
실효가 도래한 368㎢를 최대한 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 2018년 4월과 2019년 5월 두 차례 대책을 통해 반드시 공원으로 조성해야할 공원 부지를 선별하고, 지자체에 대한 재정지원을 최초로 시작했다.
도시재생, 지역개발사업 등 국고사업과 연계한 공원 조성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LH 토지은행에서는 지자체를 대신해 부지를 매입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지자체도 지방채를 발행하고 2018년 선별한 우선관리지역보다 더 많은 공원 조성사업에 나서는 한편, 지역주민·환경단체 등과 민관 거버넌스를 구성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협력하는데 앞장섰다.
국토부 관계자는 “확정된 공원사업이 완료되면 전국 650곳의 공원이 새롭게 조성되고, 1인당 공원면적은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공원 조성과 유지를 합쳐 총 1,500만 그루의 나무 조성효과와 연간 558톤의 미세먼지 흡수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도시공원 실효제는 지자체가 공원 부지로 지정한 뒤 20년간 조성사업을 시행하지 않으면 공원 지정 효력이 상실되는 제도다.
도시공원은 지자체가 도시관리계획을 통해 공원부지를 지정, 공원조성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승인, 부지 매입(보상), 공원시설 설치 등의 절차를 거쳐 조성하게 되는데, 사유지가 공원 부지로 지정될 경우 해당 토지는 다른 용도로 개발할 수 없게 된다.
지자체가 그간 재원 부족 등을 이유로 공원으로 지정만 하고 장기간 조성하지 않는 ‘장기미집행공원’이 누적되자, 헌법재판소는 1999년 헌법 불합치 결정을 통해 정부에 국민의 재산권과 공원 조성의 공익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적정한 기간을 두도록 했다.
이에 정부는 2000년 7월 1일 공원 지정 후 20년간 조성 사업을 시행하지 않는 공원부지는 지정 효력을 상실하게 하는 실효제를 도입했고, 올해 7월 1일 최초로 자동 실효 기한이 도래하게 된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라호텔 "11월 초 결혼식 예정대로 진행"…국가행사 취소
- 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HFW 2025 컨퍼런스’ 개최
- 쿠팡이츠서비스, 하반기 배달파트너 무상 안전점검 실시
- 얌샘김밥, 전남 직거래장터 큰잔치서 '농수산물 판촉 확대 기업' 시상
- CGV, 스타크래프트 리그 ‘ASL 시즌 20’ 극장 생중계
- 교보생명, 초등학생 대상 '찾아가는 환경 뮤지컬' 진행
- 네이트, 추석 맞아 ‘종합선물세트’ 기획전 진행
- 경동나비엔,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보일러 부문 12년 연속 1위
- 동아제약, ‘베나치오 프로액’ 리뉴얼 출시…소화 기능 강화
- 컴투스, ‘2025 KBO 포스트시즌’ 후원…“가을야구도 컴프야와 함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인천시, 현장 중심 사회보장계획으로 미래 연다
- 2대진첨단소재, 중국 주핑시 인사 방문…"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 3신라호텔 "11월 초 결혼식 예정대로 진행"…국가행사 취소
- 4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HFW 2025 컨퍼런스’ 개최
- 5쿠팡이츠서비스, 하반기 배달파트너 무상 안전점검 실시
- 6얌샘김밥, 전남 직거래장터 큰잔치서 '농수산물 판촉 확대 기업' 시상
- 7CGV, 스타크래프트 리그 ‘ASL 시즌 20’ 극장 생중계
- 8나라셀라, 황금연휴 맞아 '추석 선물세트 프로모션' 진행
- 9임실군, 임실N치즈축제서 유기 동물 입양 홍보관 운영
- 10남원경찰서, 청소년 정책자문단과 경찰업무 현장 체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