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뿐인 가로주택 층수 완화…적용 건수 ‘제로’
서울시의회, 건축물 높이 7층→15층 완화
조례 개정 이후 적용 사례 단 한 건도 없어
서울시 “심의 신청한 곳 아직 한 곳 뿐”

[앵커]
낡은 건물이 밀집돼 있는 지역을 정비해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 있습니다. 미니 재건축이라고도 불리는 가로주택정비사업입니다. 서울시가 사업 활성화를 위해 건축물 높이를 7층에서 15층까지 지을 수 있도록 규정을 완화했는데요. 하지만 해당 조례가 개정된 지 일 년 반이 지난 지금까지 적용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설석용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시 내 노후화되고 불량한 건물들이 밀집한 가로구역을 기존 도로는 둔 채 재정비하는 가로주택정비사업.
소규모주택 정비 사업으로, 낡은 건축물을 새로 지어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시행 당시에는 건축물을 7층까지 짓도록 제한했지만, 공공성 강화 등 사업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서울시의회는 제한 높이를 15층까지 하도록 관련 규정을 완화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조례가 개정된 지 1년 이상이 지났지만 적용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정호 서울시의원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모두 136개 지역.
이 가운데 조합이 설립돼 본격적으로 사업이 시행되고 있는 곳은 26개 지역이지만 7층 이상 건축물이 정비 대상이 된 사례는 없었습니다.
신 의원은 조례가 개정됐음에도 재건축물 높이를 7층으로 제한하는 것은 조합의 자율권을 침해한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싱크] 신정호 시의원 / 서울특별시의회 도시계획관리위원회
“지금 내 집이 7층 다세대 빌라로 돼 있는데 그걸 부셔서 7층의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한다는 것은 사업성이 안 나오는 거죠. 조례가 바뀐 지가 1년 반이 됐는데도 (서울시는) 굉장히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거죠. 가로주택은 7층이 마땅하다 무조건 이렇게 생각하는 측면이 많다는 거죠.”
서울시는 이와 관련 “대상 심의를 신청한 곳은 한 곳 뿐이라며, 아직 지역 별로 여러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심의를 신청하는 지역이 많아지면 해당 사업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서울경제TV 설석용입니다. /joaquin@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모비스, SW 인재 육성 위한 ‘모비우스 부트캠프' 개최
- 배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지원…‘만나서 결제’ 편의성 개선
- MINI 코리아, 선제적 차량 관리 위한 ‘프로액티브 케어’ 서비스 개시
- 한국에너지공단·LG전자, 'ThinQ 26℃ 챌린지' 시즌2 추진
- 팔레드차밍, 도그어스플래닛과 반려견 전문케어 서비스
- 사미헌, 한우곰탕으로 HMR 시장 진출
- 젝시믹스 이수연 대표, 약 13억원 자사주 매수…”책임 경영 의지”
- 넥센타이어, 기아 글로벌 전략 차종에 신차용 공급 확대
- 공유숙박 기업 트러스온글로벌, 한국 법인 설립 '국내 진출'
- SK아메리카스, 매출 계상 논란…SK에코플랜트 회계감리 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모비스, SW 인재 육성 위한 ‘모비우스 부트캠프' 개최
- 2허리둘레 90cm 이상이면 암 발생 위험 높아져… 398만 명 조사
- 3양산시, 폭염 피해 최소화에 팔 걷었다
- 4배민,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지원…‘만나서 결제’ 편의성 개선
- 5MINI 코리아, 선제적 차량 관리 위한 ‘프로액티브 케어’ 서비스 개시
- 6한국에너지공단·LG전자, 'ThinQ 26℃ 챌린지' 시즌2 추진
- 7팔레드차밍, 도그어스플래닛과 반려견 전문케어 서비스
- 8하나증권, ‘코리아 프리미엄랩’ 출시…국내 증시 턴어라운드 영향
- 9사미헌, 한우곰탕으로 HMR 시장 진출
- 10젝시믹스 이수연 대표, 약 13억원 자사주 매수…”책임 경영 의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