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외감법 효과’ 감사보고서 정정 줄었다
[앵커]
지난 2018년 말부터 시행된 신외감법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감사인과 기업이 결산에 신중을 기한 결과, 지난해 기업 감사보고서 정정 횟수가 줄어든 것입니다. 이소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금융감독원은 오늘(30일) 지난해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감사보고서(연결감사보고서 포함) 정정 횟수가 전년 대비 14% 줄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지난 2016년 969건이었던 감사보고서 정정 횟수는 그동안 매년 증가해왔습니다.
2018년 1,533건까지 늘어났던 감사보고서 정정 횟수.
그러나 지난해에는 2018년 말부터 시행된 ‘신외감법’ 효과로 정정 횟수가 1,319건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금감원은 “신외감법 시행 이후 회사와 감사인이 결산에 신중을 기하며 정정 사례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최초공시 후 정정시점까지의 경과기간도 짧아졌습니다.
지난해 감사보고서 정정은 전체의 52.9%가 한 달 이내에 이뤄졌고, 평균 경과기간은 7.2개월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018년 평균 경과기간(9.2개월) 대비 2개월가량 짧아진 수치입니다.
감사보고서 정정은 재무제표 본문(567회·43%) 정정이 가장 많았고, 주석(399회·30.2%)과 감사보고서 본문(140회·10.6%) 정정이 뒤를 이었습니다.
금감원은 “감사보고서 정정 전체의 30~40%가 단순 입력 오류에 해당한다”며 “사소한 오류라고 해도 감사보고서 정정은 회사 재무 정보에 대한 신뢰를 훼손할 수 있어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소연입니다. / wown93@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팝인보더, 큐텐재팬 공식 파트너 선정…K셀러 일본 진출 발판 마련
- 2케이프투자證, 이달 2~4일 ‘동탄·하동 귀농귀촌주택 리츠’ 청약 접수
- 3ABL생명, 곽희필 신임 대표이사 선임
- 4동양생명, 성대규 신임 대표이사 선임
- 5김철우 보성군수, 자녀 문제 관련 사과문 발표..."무거운 질책 가슴 깊이 새겨"
- 6르노코리아, 6월 8568대 판매…"내수 판매량이 실적 견인"
- 7금감원, 태광산업 '깜깜이' EB발행 정정명령
- 8현대차, 6월 35만 8891대 판매…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
- 9한화오션,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사업 우선협상자 선정
- 10이재준 수원시장 "모두의 AI" 실현하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