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 실수요자 곡소리…4일 6·17대책 피해자 연대집회

[서울경제TV=지혜진기자] 6·17대책 소급적용의 피해를 주장하는 이들이 오프라인 단체행동을 예고했다.
2일 ‘6·17 규제 소급적용
피해자 구제를 위한 모임’ 온라인 카페에 따르면 이들은 오는 4일
서울 구로구 신도림역 1번출구 앞에서 집회를 연다.
이 카페 운영진은 “6월 17일 발표된 주택시장안정을 위한 관리방안에 따른 대출규제 소급적용으로 인한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수렴하기 위한 구제행동의 첫걸음으로 단체행동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실제 이 카페를 중심으로 6·17대책 피해자임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사흘째 관련 키워드를 포털사이트 실시간 검색어에 올리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지난 30일 ‘617소급위헌’에
이어 1일에는 ‘김현미장관 거짓말’ 등을 실시간 검색어로 올렸다.
사흘차인 2일은 ‘617 헌법13조2항’을 검색어로 선정했다. 6·17대책 이후 변경된 중도금 및 잔금대출 LTV가 “모든 국민은 소급입법에 의하여 참정권의 제한을 받거나 재산권을 박탈당하지 아니한다”는 헌법 조항에 위배된다는 이유에서다.
전국 6·17 부동산대책 피해단지 현황 일부. [사진= 6·17대책 소급적용 피해자모임]
정부는 대출 실행일을 기준으로 소급적용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피해를 주장하는 이들은 “청약 및 분양시스템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반박했다.
피해를 주장하는 A씨는 “정부가
선분양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해서 이 같은 사태가 벌어졌다”며 “기존
구축 주택을 매수하는 사람들은 계약금 내고 곧바로 잔금대출을 신청할 수 있지만, 3년을 기다린 뒤 잔금대출을
신청해야 하는 수분양자들은 당장 대출을 신청하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카페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국 약 281개 단지, 28만세대가 해당 정책의 영향을 받게 될 전망이다. 변경된 대출
기준으로 피해를 입는 사람 중에는 다주택자뿐 아니라 무주택자도 상당부분 포함돼 반발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heyj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미정상회담] 韓기업 주도로 마스가 현금·보증 투자…"한국이 주도권 가져"
- [한미정상회담] 車관세 15%로 인하…현대차그룹, 연간 2조 원대 이익 개선 기대
- 중소기업계 "한미 관세협상 타결 환영"
- [한미정상회담] 한미, 관세협상 세부합의…현금투자 2000억불, 年상한 200억불
- [속보] 마스가, 韓기업 주도로 추진…보증도 포함키로
- [속보] 대통령실 "연간 200억불, 우리 외환시장 감내 가능 범위"
- [속보] 상호관세는 15% 유지…자동차 관세도 15%
- [속보] 대미투자 원금회수 장치마련…'상업적 합리성' MOU에 명시
- [속보] 의약품·목재 등 최혜국대우…항공기부품·의약품 등 무관세
- [속보] 대통령실 "반도체, 대만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관세 적용"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공영민 고흥군수, 미래 전략산업·교통 인프라로 '인구 10만 시대' 향한 가속페달
- 2조계원 의원, “노관규 순천시장 김건희 예산개입 의혹…국회 위증 혐의 고발해야”
- 3韓기업 주도로 마스가 현금·보증 투자…"한국이 주도권 가져"
- 4車관세 15%로 인하…현대차그룹, 연간 2조 원대 이익 개선 기대
- 5시흥시, GTX-C 오이도역 연장 ‘지체 속 한 걸음’
- 6중소기업계 "한미 관세협상 타결 환영"
- 7지리산국립공원, 11월 15일부터 일부 탐방로 폐쇄
- 8한미, 관세협상 세부합의…현금투자 2000억불, 年상한 200억불
- 9마스가, 韓기업 주도로 추진…보증도 포함키로
- 10대통령실 "연간 200억불, 우리 외환시장 감내 가능 범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