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 '사상 최대'…한 달 새 34억달러 ↑
[앵커]
우리나라의 6월말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코로나19 여파로 환율이 출렁이면서 급감했던 외환보유액이 4월부터 석달째 증가세를 이어간 결괍니다. 정순영 기잡니다.
[기자]
한국은행은 6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이 4,107억5,000만달러로, 지난 5월 말보다 34억4,000만달러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외화자산 운용 수익이 발생한 데다 미 달러화 약세로 기타 통화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도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환율이 급변한 3월 약 90억달러가 급감한 뒤 4월과 5월에 이어 석달 연속 증가한 것입니다.
지난달 중 주요 6개국 통화 대상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지수는 0.9% 감소했습니다.
자산별로 보면 유가증권이 한 달 전보다 68억8,000만달러 늘어난 3,725억8,000만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은행 예치금은 260억4,000만달러로 39억7,000만달러 줄었지만, IMF 특별인출권은 30억8,000만달러로 2억8,000만달러 증가했습니다.
IMF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도 2억6천만달러 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의 경우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였습니다.
주요국과의 순위를 비교할 수 있는 지난 5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073억달러로 세계 9위 자리를 지켰습니다.
1위인 중국은 3조1,017억달러로 전월 대비 102억달러 증가했고, 일본은 97억달러 늘어난 1조3,782억달러로 뒤를 이었습니다. 서울경제TV 정순영입니다. /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 NH농협은행 205억원 금융사고…대출상담사가 과다대출
- 안도걸 "지난해 대주주 3272명, 1인당 양도차익 29억 신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