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지분으로 입주…2023년 분양”
‘지분적립형 주택’ 새로운 공급 모델 주목
최초 20~25% 지분 확보시 입주 가능
홍남기 “자산형성 지원…공공성 확보할 것”

[앵커]
정부가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을 새로운 공급 모델로 제시했습니다. 적은 초기 자금으로 내 집 마련이 가능해 무주택자들의 관심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설석용 기자입니다.
[기자]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이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공급 모델로 등장할 전망입니다.
최초 분양 때 20~25%의 지분만 취득하면 입주가 가능하고, 나머지는 4년마다 균등하게 취득해 20~30년 뒤엔 100%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초기 자금이 적게 들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줄어든다는 게 가장 큰 장점입니다.
처음 입주를 위해 취득한 지분을 뺀 나머지는 공공지분으로 입주 뒤 이에 대한 임대료를 내면 됩니다.
임대료 역시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책정될 예정입니다.
20~30년 뒤엔 100% 지분을 확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내 집 마련의 꿈도 실현할 수 있습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늘(28일) 제9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에서 “장기 거주시 자산형성을 지원하되, 지분취득기간 및 거주의무를 통해 공공성도 충분히 확보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분적립형 주택은 신규 공급주택 중 공공보유부지나 공공정비사업 기부채납분 등 선호도 높은 도심부지부터 점진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의 주택 공급 일정을 고려해 2023년부터 시장에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싱크] 권일 /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
“실수요자 입장에서 전체 비용이 다 들어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아무래도 비용 부담분에서는 장점이 있다고 봐야 할 텐데…실질적으로 공급이 된다고 한다면 빨리야 2년 뒤 아마 2~3년 정도는 후라고 봐야 돼요. 공급이 가능한 시기는.”
지분 적립형 주택 공급이 활성화된다면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경제TV 설석용입니다. /joaquin@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영]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삼성SDI 배터리 탑재 차량, 세계 최장 주행으로 기네스북 등재
- GM-현대차, 5종 차량 공동 개발…“2028년 출시”
- 한경협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시급”
- IS동서, 시평 50위 밖으로…재무건전성 회복 해법은
- ‘AI 기본법’ 논의 지지부진…유예론 ‘솔솔’
- 무봉재단, 전국 초등학생 191명에 장학금 전달
- 2차전지 소재 3社 ‘희비’…롯데·포스코 ‘고전’ 에코프로 ‘선방’
- 방산 수출 갈 길 바쁜데…방사청·수은 뭐하나
- 포스코이앤씨, 송치영 사장 선임 후 현장 점검 돌입
- 쿠팡, 2분기 매출 11.9조 ‘역대 최대’⋯“대만 성장에 날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삼성SDI 배터리 탑재 차량, 세계 최장 주행으로 기네스북 등재
- 2GM-현대차, 5종 차량 공동 개발…“2028년 출시”
- 3경기도, 현안 대책 회의…호우복구·관세 피해·미군 공여지 개발 논의
- 4한경협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시급”
- 5수원시, 108억 원 규모 ‘새빛공원 페스티벌’ 활성화
- 6인천 일부 열차 사업, 수요예측 실패 '적자 악순환'
- 7고창 꿀고구마, 과자로 재탄생
- 8"서울보증 사태 재발 막자"…정부, 징벌적 과징금 추진
- 9IS동서, 시평 50위 밖으로…재무건전성 회복 해법은
- 10‘AI 기본법’ 논의 지지부진…유예론 ‘솔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