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세가율 하락…”안정화까진 아직”
2월 서울 전세가율 56.17%…6개월만 하락
“전셋값 상승률도 2개월째 상승폭 줄어”
전세 안정화 VS 입주물량 적어 안정 무리
“서울 대부분 정비사업…순증효과는 미미”
올해 입주물량↓…”구조적으로 전셋값 오른다”

[앵커]
지난해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 등 임대차 2법이 시행된 뒤로 오르기만 했던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6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습니다. 임대차 시장이 안정될 조짐을 보이는 걸까요. 일부에선 올해 서울에서 계획된 입주물량 자체가 적어 안정화까지는 요원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혜진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새로운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제·전월세상한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하락했습니다. 지난 5개월 간 계속 상승했다가 처음으로 내린 겁니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56.17%로, 전달(56.26%)보다 0.09%포인트 내렸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서 낸 서울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도 2개월째 줄어들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0.96%를 기록했던 게 올해 1월에는 0.74%로, 2월에는 0.60%로 떨어졌습니다.
이렇듯 전셋값 관련 지표의 상승폭이 둔화되거나 하락하면서 임대차 시장도 안정화에 접어들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만 올해 입주물량이 적어, 전세시장 안정 기조가 확산할지는 좀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부동산114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서울에서 공급되는 물량의 80%가량은 정비사업이 차지합니다. 공급물량의 절반 이상을 조합원이 차지하는 정비사업의 특성상, 시장에 실질적으로 공급되는 물량은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입주물량이 급감해 구조적으로 전셋값이 오를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지혜진입니다. /heyjin@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동반위-롯데리아, 진해중앙시장부터 상생캠페인 전개
- 중진공, 해외법인지원자금 첫 공급…글로벌화 지원
- 중기부, 인도 정부와 상호협력 방안 논의
- 대한상의 "美 상호관세 부과 관련 산업계 부담 최소화 도울 것"
- '압구정·여의도·목동·성수' 토허제 1년 더 연장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유가는 하락
- SNP 프렙, 다이소 '하이드로겔 아이패치' 론칭 후 '1위' 기록
- CU, 업계 최초 38개 언어 ‘AI 통역 서비스’ 도입
- 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서 가격 인상 계획 없어"…관세영향 평가 중
- 퀸잇, ‘2025 럭퀸세일 페스타’ 진행…4050세대 공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