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이후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매매가 1,868만원 상승"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매매가격이 1,868만원 상승하면서 서울 거주자들의 주거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24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의 주택가격동향을 살펴본 결과, 지난 2017년 5월 서울 아파트 3.3㎡당 평균매매가격은 2,326만원이었지만, 올해 2월에는 4,194만원으로 1,868만원 상승했다.
서울에서도 평균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강남구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5월 강남구 아파트 3.3㎡당 평균매매가격은 4,397만원이었지만, 올해 2월에는 7,492만원으로 3,095만원 상승했다.
강남구를 제외하고 문재인 정부 이후 3.3㎡당 평균매매가격이 2,000만원 이상 오른 자치구는 8곳으로 나타났다. 서초구가 2017년 5월 3,831만원에서 2021년 2월 6,470만원으로 2,640만원 상승해 서울에서 두 번째로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높았고, 이어 송파구가 2,870만원에서 5,348만원으로 2,478만원 올라 강남3구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높았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도곡동 ‘도곡1차 아이파크’ 전용면적 84.122㎡는 지난 2017년 5월 10억4,000만원(5층)에 거래됐지만, 올해 2월 17일에는 20억(6층)에 실거래가 이뤄지면서 문재인 정부 이후 9억6,000만원 올랐다.
강남의 대표적인 재건축 아파트인 은마아파트도 문재인 정부 이후 10억원이나 치솟았다. 지난 2017년 5월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76.79㎡는 12억(6층)에 실거래가 이뤄졌지만, 올해 2월에는 22억(5층)에 거래돼 문재인 정부 이후 83.3% 상승했다.
강남구 삼성동 ‘현대힐스테이트2단지’ 전용면적 84.236㎡도 지난 2017년 5월 14억2,000만원(18층)에 거래됐지만, 올해 2월에는 26억원(19층)에 실거래가 이뤄져 11억8,000만원 뛰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공시지가 상승으로 다주택자에 대한 세 부담이 커지면서 일부 아파트들의 가격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강남구 경우 다른 지역보다 수요가 탄탄하고 증여를 통해 보유한 주택을 처분할 수 있는 만큼, 아파트 가격 안정화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 '38세금징수TF팀', 지방세 체납원인 압류차량 인도명령
- 2안동 풍산시장, 공모사업 선정으로 미식관광 거점화 첫걸음
- 3안동시, ‘K-미식 전통주 벨트 팝업열차’ 출시
- 4안동시, 고향사랑기부제 누적 30억 원 달성
- 5경북도, 광복 80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및 추모벽 명각식 개최
- 6경북도, APEC 전 분야 현장준비체제 대전환
- 7경북 시청자미디어센터, 포항 오천읍에 ‘첫 삽’
- 8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만나 핵심현안 지원 요청
- 9대구시, 제80주년 광복절 맞아 뜻깊은 경축행사 개최
- 10대구 북구, '온-배움' 온라인 평생학습 하반기 학습자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