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디즈니 공세에…토종 OTT 생존 ‘안간힘’
경제·산업
입력 2025-08-14 17:43:06
수정 2025-08-14 19:04:43
이수빈 기자
0개
국내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의 온도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해외 플랫폼들은 올해 상반기도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데오. 국내 토종 OTT들은 적자와 경영난에 시달리며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입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국내 OTT 플랫폼 티빙은 올해 2분기 240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매출은 995억 원으로 전년 대비 7.8% 줄었고 손실 규모는 123억 원 늘었습니다. 2020년 CJ ENM에서 분할된 이후 5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1세대 OTT 왓챠의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서울회생법원은 지난 4일 왓챠에 기업회생 절차 개시를 결정했습니다.
49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CB) 원리금을 갚지 못한데다 실적 부진이 이어지며 재무상태가 악화된 영향입니다.
이에 따라 왓챠는 내년 1월 7일까지 회생계획안을 제출해야 하며,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파산 절차로 넘어가게 됩니다.
반면 해외 OTT 시장은 분위기가 다릅니다.
글로벌 OTT들은 양호한 실적을 내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넷플릭스는 매출 216억 달러, 영업이익 71억 달러를 내며 상반기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디즈니플러스도 올 상반기 매출 122억 달러, 영업이익 6억8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에 이어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업계에선 이 같은 실적 양극화 이유는 국내 OTT 플랫폼들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어려운 구조 때문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규모의 경제가 필수인 산업 특성상, 글로벌 자본과 콘텐츠를 갖춘 해외 사업자들과 경쟁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토종 OTT들이 새로운 수익 모델과 차별화된 콘텐츠 전략을 찾지 못하면 생존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타임빌라스 수원’ 1주년 기념 고객 감사제 진행
- 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관광객 결제 편의 강화
- 인천시, 차이나타운서 '1883 인천 짜장면 축제' 개최
- LG전자, 미국 소비자 가전 만족도 평가서 업계 최다 1위
- 신세계라이브쇼핑, 오는 25일 맨즈컬렉션 론칭
- 엔제리너스, ‘한쌈 고추장 불고기 반미’ 출시
- GS샵, AI 스튜디오 고도화…1년만에 방송 적용률 60% 돌파
- 카카오, ‘한교동 X 카카오프렌즈’ 협업 굿즈 출시
- CGV, ‘2025 아트하우스 독립영화 PICK’ 선정작 6편 선봬
- LS, 협력사 CEO 포럼 성료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동반성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하반기 자전거도로 77km 전 구간 안전점검
- 2‘타임빌라스 수원’ 1주년 기념 고객 감사제 진행
- 3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관광객 결제 편의 강화
- 4인천시, 차이나타운서 '1883 인천 짜장면 축제' 개최
- 5"낮엔 자연, 밤엔 빛" 남원 함파우 지방정원 조성 박차
- 6한은 금통위 3연속 기준금리 동결…금융안정 택했다
- 7남원경찰서, 제80주년 경찰의 날… 경찰·시민 유공자 48명 표창
- 8장수군, 논개 탄신 451주년 기념 '의암주논개상' 시상
- 9안양시, 내년도 재난관리기금 282억 확정
- 10김동연, "주4.5일제, 생산성과 워라밸 모두 잡을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