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터진 5G 소비자 “부당한 요금 배상해라”

[앵커]
안 터지는 5G에 속 터진 소비자가 이통3사를 상대로 부당하게 과다청구된 요금을 배상하라고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원래 내일이면 ‘5G 상용화’ 2주년을 맞아서 이동통신3사가 축배를 들어야겠지만, 집단 소송으로 2돌을 맞게 됐습니다. 윤다혜 기자입니다.
[기자]
서비스 시작 후 2년이 되도록 제대로 터지지 않는 5G에 뿔난 가입자들이 1인당 100만~150만씩 보상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5G피해자모임은 오늘(2일) 오전 11시 서울 SK텔레콤 본사 앞에서 ‘5G 통신품질 불량 규탄 5G 피해자 집회’를 열었습니다.
[인터뷰]조은영 5G피해자모임 회원
“정부와 이통사를 믿고 5G 휴대전화를 구매하여 5G요금제에 가입한 이용자들이 LTE(롱텀에볼루션) 사용량 대비 1인당 평균 월 5만~7만원 가까이 2년 약정기준으로 (1인당) 100만~150만원에 달하는 부당하게 과다청구된 요금 피해를 속히 배상하라...”
이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이통3사는 LTE 같은 끊김 없는 5G 서비스 이용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따로 고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조은영 5G피해자모임 회원
"예를 들어서 만들어지지 않은 집을 임대로 놨고 저희는 만들어진 집인 줄 알고 들어갔는데 말 그대로 주거로써 기능을 전혀 할 수 없는 집에 월세를 내고 사는 거랑 똑같다고 봅니다.”
5G피해자모임은 정부와 이통3사 대상으로 진행할 공동소송에 참여할 소송인단을 모집 중 입니다. 지난달 22일부터 시작해 보름도 안 됐지만 벌써 참여자 1만명이 넘어선 상태입니다.
통신업계에서는 망을 다 깔고 서비스하라는 이 같은 주장은 억측에 가깝다는 입장입니다.
통신업계는 “지난 2년 간 통신사들은 총 17조 9,000억 원의 역대 최대 설비투자 집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요금 피해에 대해서는 “데이터 제공량, 부가 혜택 등을 종합 고려 시 5G 요금 수준은 결코 높지 않으며 이용 패턴과 만족에 맞는 요금제와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경제TV 윤다혜입니다. /yunda@sedaily.com
[영상취재 김경진]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AI 기술 리더 한 자리"
- HD현대희망재단, 중대재해 피해 유가족 생활안정 지원 나서
- LIG넥스원, 에어버스 DS와 통합방공분야 협력확인서 체결
- “한가위만 같아라”…가스공사, 소외 이웃에 따뜻한 손길
- 딥서치, 트위그팜과 전략적 제휴…국내 상장사 정보 가공
- 알록, ‘울트라체인지 포커스’ 출시…홈뷰티 디바이스 시장 흔든다
- 금율파트너스,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맞춤형 정책자금 컨설팅 서비스
- 에이씨엔에스, 다큐에이디 ‘기술개발제품 시범구매제품’ 최종 선정
- TMAP에서 간편하게 벌점 확인…’운전면허 벌점’ 서비스 지원
- 현대모비스, '모비우스 부트캠프' 1기 발대식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생활문화예술동호회 페스티벌 9월 28일 개최
- 2남원시, 농촌공간 재편 위한 권역별 주민공청회 연다
- 3"남원의 자랑스러운 얼굴들"…2025 시민의장 주인공 발표
- 4김용진 전 기재부 차관, GH 제13대 사장 취임
- 5장수군, 농촌특화지구형 농촌공간정비사업 공모 선정
- 6장수군 홍보대사 최재명 팬, 장수군에 어린이 도서 600권 기탁
- 7대한패브릭 서한집 대표, 3년 연속 순창군에 고향사랑기부금 전달
- 8"군민 안전 최우선" 임실군, 2026년 재해예방 정비사업 확정
- 9임실군 붕어섬 생태공원, 가을꽃 물결로 단장
- 10LG전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콘퍼런스…"AI 기술 리더 한 자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