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땅꾼의 땅땅땅] 시골 땅 개발시 유의할 점 다섯가지

시골 땅도 개발을 해야 가치가 올라가는 법입니다. 아파트개발 처럼 대규모는 물론 아니겠지만 개인 소유의 시골 땅이라고 할지라도 개발마인드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전원생활을 하며 시골 땅을 개발하고자 할 때에 염두에 두어야 할 내용을 몇 가지 정리해보았습니다.
1. 가꾼 만큼 가치는 오른다
처음부터 좋은 땅은 찾기가 어렵습니다. 좋은 땅은 자신이 만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볼품없던 땅도 잘만 가꾸면 몇 배의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 때, 반드시 테마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보면 매실농원 · 야생화농장 · 허브나라 등이 모두 테마로 성공한 좋은 예입니다. 땅 값도 올라가고 동시에 이 테마가 돈이 되는 겁니다.
2. 내 땅의 주제 파악을 하라
그 땅에서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무엇을 해야 가장 잘 할 수 있는지를 찾아내야 합니다. 단순히 전원주택을 지어 사는데 만족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수익을 얻겠다면 어떤 것을 할 것인지, 그 땅과 맞는 주제를 정확히 정해야 합니다. 펜션을 할 것인지 전원카페를 할 것인지, 아니면 나무를 가꿀 것인지에 대해 심사숙고하여 가장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3. 욕심은 금물
시골 땅을 구입해 전원주택을 지어 살거나 수익사업을 생각하는 실수요자들이라면 욕심을 내어서는 안됩니다. 시작할 때는 의욕적으로 달려들지만 막상 가꾸는 것에는 한계가 많지요. 전원주택을 짓는 사람의 경우 정원이나 텃밭 등으로 큰 평수를 욕심내지만 막상 가꾸다보면 100평이 넘는 넓은 평수는 관리가 힘들어 자신도 주체하지 못합니다. 자신이 관리할 수 있는 바운더리 내에서 적응기간을 갖고 서서히 규모를 넓혀가야 합니다. 집이 너무 크면 관리도 힘들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50평 이상만 되도 청소가 만만치 않은걸요. 또 매도시에도 덩치가 커 쉽지가 않아집니다.
4. 환경은 살리고 집은 죽인다.
현재 전원주택을 짓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집에 너무 신경을 쓰는 경향이 많습니다. 집을 짓기 위해 산을 깎고 나무를 몽땅 베어버린 후 덩그렇게 집만 짓는 경우도 봤습니다. 집을 크게만 지으려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 위에 언급했듯 결국엔 후회하게 됩니다. 집은 최소한으로 하고 대신 정원과 주변 경관을 가꾸는데 신경을 쓰면 땅의 가치를 올리는 것이 좀 더 수월해집니다. 집은 짓는 시간부터 손해가 나지만 땅은 가꾸는 만큼 이익이 나기 때문이지요.
5. 팔 때를 생각하라
땅을 구입하던 전원주택을 구입하던 팔 때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수도권 주변, 분당 인근지역에서는 고급주택을 지어도 팔릴 가능성이 높지만 강원도 산속의 고급주택을 사려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환경이 좋은 곳에 좋은 집을 짓는다면 쉽게 팔 수 있겠지만 예를 들어 축사 옆에 아무리 좋은 고급주택을 짓는다고 그 집이 잘 팔리지는 않는다는 이야깁니다. 추후 매도시를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은규 대박땅꾼Lab 소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임미애 의원 “mz 해양경찰, 5년도 못 버티고 떠나”. . .해양경찰 조직문화 개선 시급
- 2김위상 의원 “천연기념물까지 쾅! ‘버드스트라이크’ 5년 새 2배 늘어”
- 3김승수 의원 “세계는 한복에 주목…정부 지원은 여전히 부족”
- 4차규근 의원 “최근 3년새 SNS 마켓업 수입금액 2배 이상 증가,30대 가장 많아”
- 5차규근 의원 “게임 아이템 거래 시장, 5년간 3조원 이상 거래됐다”
- 6강대식 의원 "가짜 원산지 축산물ㆍ중국 김치...군 급식 이대로 괜찮나"
- 7대구대-라온엔터테인먼트, 게임 산업 발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8성형·피부과 5년간 20% 급증…소아청소년과 2% 감소
- 9SNS마켓, 여성·30대 주도…"2년간 3배 성장"
- 10전기차 고객 10명 중 6명은 3040…20대 구매 증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