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코스피, 외국인·기관 쌍끌이 매수에 3,180선 안착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코스피가 돌아온 외국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우려 등에도 불구하고 전날보다 소폭 상승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14일 전장 대비 0.03% 상승한 3,169.95p에 출발한 코스피는 개인이 이틀연속 매도세를 이어갔지만 기관과 외국인이 강한 매수세를 보이며 상승폭을 키웠다. 오전 한때 3,160선까지 내려앉았던 코스피는 오후 들어 상승폭을 키우면서 결국 0.42% 오른 3,182.38p에 거래를 마감했다.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788억원, 1,062억원을 사들였고, 개인이 3,006억원 매도했다.
이날(14일) 코스피 시장에서 485개 종목이 상승했고, 351개 종목이 내렸다.
업종별로 보험(2.16%), 철강금속(1.83%), 섬유의복(2.02%), 비금속광물(1.47%) 등이 상승했고, 통신업(-1.42%), 은행(-0.43%), 운수창고(-0.04%), 음식료업(-0.15%)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다수는 강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보합마감했고, NAVER(0.77%), LG화학(3.34%), 현대차(1.09%), 삼성바이오로직스(0.77%), 삼성SDI(1.01%), 기아차(0.58%)등이 상승했고, SK하이닉스(-1.79%), 셀트리온(-0.32%)등이 내렸다.
같은 날(14일) 코스닥 역시 전 거래일 대비 0.40% 오른 1,014.42p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24)이 매도한 가운데 외국인(110)과 기관(132)이 매수하며 상승세를 키웠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셀트리온제약(1.30%)와 에코프로비엠(2.93%), 알테오젠(6.20%), CJENM(0.35%)등이 오른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0.81%), 씨젠(-0.90%), 에이치엘비(-0.56%), 원익IPS(-0.88%) 등은 하락 마감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 증가에 거리두기 격상 가능성이 제기되며 비대면 온라인 강의 사업을 하고 있는 교육 업종들이 상한가를 기록하는등 강세를 보였다. 비상교육, 메가엠디, 아이비김영, 메가스터디 등은 상한가를 기록했고 YBM넷(13.97%), 대교(10.89%) 등이 전날보다 크게 오르며 거래를 마쳤다.
중앙대책본부는 14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731명 늘어 확진자가 규모가 500명대에서 700명대로 폭증했다고 밝혔다. 일일 신규 확진자 수 규모는 지난 1월 7일 896명을 기록한뒤 97일만에 최대치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영촐괄반장은 "추세가 어떻게 이어지는가가 사회적거리두기 단계 조정을 하는데 큰 요소다"라며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금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9.3원 내린 1,116.6원에 거래를 마감했다./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개인·기업 빚 절반 '1933조'가 부동산에 쏠려…11년만에 2.3배↑
- 키움증권 '먹통'…"또 '사고'有, 더 불안"
- 새마을금고, ‘체질 개선’ 분주…부실 털고 턴어라운드 할까
- [尹파면] F4 "시장 필요시 안정조치"…금융지주사 긴급회의 개최
- [尹파면] 관세 이슈에 증시 발목...원화는 강세 회복
- 5대 금융지주 尹 탄핵 인용·美 상호관세 따른 시장 변동성 긴급점검
- 금융당국 "尹 파면·美 상호관세 영향 시장상황 면밀하게 모니터링"
- 이복현 금감원장 "금융시장 충격 대비 전직원 비상대응체계"
- 尹 탄핵 '인용' 후 원·달러 환율 1430원대로 하락
- 펠드아포테케, '2025 타이베이 뷰티 박람회' 참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택시요금 올라도 연말 서울 택시 이용 22%↑
- 2LG 에이머스 해커톤 개최…“AI 개발로 난임 치료 돕는다”
- 3쿠팡, PB 납품 중소협력사 630곳 늘어…고용인원 2만7000명
- 4한화비전, 북미 최대 보안 전시회 'ISC 웨스트' 참가
- 5삼성전자, '공급망 인권 관리' 부문 글로벌 ICT 기업 1위 차지
- 6韓조선 R&D 투자 최근 6년 연속 확대
- 7고환율 지속에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공사비 상승 가능성
- 8동남아 덮친 트럼프발 상호관세에 전자 부품업계 초긴장
- 9거세지는 식품·외식 물가 상승세…가격인상 주춤해질까
- 10경기 침체 장기화로 직격탄 맞은 유통업계…부도확산 우려까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