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지 늘어난 재개발…‘공공기획’ 관심↑
한남1, 민간재개발 사전검토요청 접수
오 시장, 민간재개발 활성화…공공기획 제안
공공기획, 정비구역 지정 5→2년…속도 강점
재개발 지역, 공공 VS 민간 두고 ‘저울질’
사업성 저조한 곳들 여전히 “공공 원해”

[앵커]
오세훈 서울시장이 민간재개발 활성화를 예고한 이후 재개발을 희망하는 구역의 셈법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유력한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떠올랐으나 현재는 탈락한 한남1구역도 민간재개발을 검토하는 모습인데요. 지혜진기자입니다.
[기자]
2차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에서 고배를 마시고, 서울시 등에 재심의 요청을 한 상태인 용산구 한남1구역.
이들은 지난달 민간재개발의 절차인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사전검토요청’을 용산구청에 접수했습니다.
이들이 민간재개발을 검토하게 된 까닭은 지난달 오세훈 서울시장이 재개발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기 때문입니다. 재개발 활성화 방안 중에는 ‘공공기획’ 이라는 새로운 개발 방식이 제안됐습니다.
오 시장은 정비구역 지정 과정에서 공공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게 되면 기존에 5년정도 걸리는 절차를 2년까지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공공재개발의 다양한 이점 중 ‘속도’에 가장 큰 매력을 느꼈던 한남1구역인 만큼 오 시장의 공공기획에 관심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싱크] 민동범 / 한남1구역 재개발추진협의체 공동대표
“(공공재개발) 재심의가 들어간다고 해가지고 결과가 우리가 원하는 구역선정이 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인센티브라든지 그런 것들을 어떤 게 우리 구역 소유주분들께 좋을 건지를 비교를 해가지고 나중에 선택을 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입지나 사업성은 괜찮으나 공공 개발에 선정되지 못한 곳들 중심으로 이 같은 ‘투트랙 전략’을 취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역세권 입지인 성북구 장위11구역도 민간과 공공 중에 구역이 좀더 유리한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다는 입장입니다.
다만 사업성이 좋지 않아 추가 용적률 등 공공이 주는 인센티브가 필요한 지역들은 공공재개발이나 도심 복합사업이 우선이라는 태도입니다.
서울경제TV 지혜진입니다. /heyjin@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현대차, 굿우드 페스티벌서 ‘아이오닉 6 N’ 성공적 데뷔
- 2현대차 넥쏘 러브콜 캠페인에 유재석 화답
- 3건설기술인력 고령화 심화…청년 유입 줄고 중장년 비중 확대
- 4제네시스, ‘2025 스코티시 오픈’ 성료
- 5페덱스, 올리브영 글로벌 진출 지원 MOU 체결
- 6카카오모빌리티, 운전자 기반 AI 경로 안내 기술 개발
- 7한투운용, 'BYD 테마 ETF' 출시…국내 첫 '中 전기차' 상품
- 8광주 북구, 무인민원발급기 주민등록 등·초본 ‘무료 발급’ 개시
- 9CJ제일제당, 호주 대형마트에 ‘비비고 치킨’ 첫 출시
- 10롯데온, ‘ON국민 민생회복 소비지원’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