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인 의원 "식품 '유통기한' 37년 만에 '소비기한'으로 바뀐다"
연간 1.4조원에 달하는 식품 폐기 비용 획기적으로 감소할 듯

[서울경제TV=김재영기자] 2023년부터 식품에 적힌 '유통기한'이 소비자가 실제로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나타낸 '소비기한'으로 바뀐다. 85년 처음 도입된 유통기한이 37년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고영인(보건복지위원, 경기 안산단원갑)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바꾸는 식품표시광고법 개정안이 지난 24일 열린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이 아닌 소비자가 보관 조건을 준수했을 경우 식품을 먹어도 안전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되는 소비기한을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국민의 인식 전환 문제와 법 개정에 따른 업계의 준비 기간 등을 고려해 2023년부터 시행하기로 하고, 우유 등 유통과정에서 변질이 쉬운 품목에 대해서는 유예 기한을 좀 더 연장할 예정이다.
최근 환경 문제가 지속적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전체 온실가스 배출랑의 약 8%에 해당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유통기한이 아닌 소비기한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이번 개정안의 필요성이 그동안 요청됐다.
고 의원은 "충분히 안전성을 담보하고 섭취할 수 있는 식품임에도 유통기한으로 인해 연간 1조4,000억원에 가까운 금액이 폐기됐다"며 "단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소비자의 혼동을 막기 위해 유예기간과 상당한 홍보기간을 확보한만큼 식약처의 차질 없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jy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경경자청, 캡스톤 디자인·해커톤 대회 개최. . .지역 문제 해결 위한 아이디어 모아
- 인천 송도자원순환센터, 추가 비용에 착공 연기
- 부천시, 지방연구원 설립 본격 추진
- 김천시, 디지털트윈 교육으로 디지털 산업도시 도약
- “현장 중심 복지·안전행정 강화”… 경주시, 7월 읍면동장 회의 개최
- 이강덕 포항시장, 민선 6·7·8기 이끈 11년…삶의 질·일자리 껑충
- 영천시, 대구 치맥페스티벌에서 지역관광 홍보 로드마케팅 펼쳐
- 미스인터콘티넨탈 지역 예선 앞둔 합숙훈련, 여수에서 성료
- 김철우 보성군수 "보성 미래는 바다에 있다…'블루투어' 모델 완성"
- 김철우 보성군수 "열선루, 생활 속 역사 문화공간으로 만들 것"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컨츄리시티즌, ‘전국 청년 로컬 브랜드 소개’ 팝업스토어 성료
- 2N32, ‘롯데백화점 웨딩페어’ 참여
- 3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 4베스트텍, AI-MIT 플랫폼으로 글로벌 실천 사례 제시
- 511번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18년 연속 e커머스 부문 1위
- 6BNK부산은행, ‘베트남 고엽제 피해자’ 지원금 전달
- 7이찬우 NH농협금융 회장 "ESG 정교하게 다듬어 미래 준비할 때"
- 8쿠팡, ‘원피스 페어’ 개최…"여름 원피스 최대 70% 할인"
- 9파인메딕스, 중앙亞 9개국 진출…내시경 절개칼 ‘클리어컷 나이프’ ODM 계약
- 10BC카드, 결제 고객 대상 강원·경상 워터파크 할인 이벤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