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병원 권동락 교수,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우수 포스터상’

[대구=유영경기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권동락 교수팀(재활의학과 권동락·박기영 교수‧권도윤 전공의/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문용석 교수)은 지난 6일 광주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2층 대강당에서 개최된 ‘2021년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 제13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토끼 근육위축 모델에서 폴리데옥시리보뉴클리오티드(Polydeoxyribonucleotide / PDRN)와 미세전류치료의 병합에 따른 재생 증대 효과’라는 논문을 발표해 ‘최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했다.
권동락 교수팀은 실험적으로 토끼 32마리의 장단지 근육을 2주간 깁스하여 근육위축이 성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한 후 32마리를 무작위로 8마리씩 4개의 군으로 배정했다.
△1군은 생리식염수 주입한 대조군 △2군은 PDRN을 1주 간격으로 2회 주사한 군 △3군은 미세전류를 매일 1시간씩 2주간 치료한 군 △4군은 PDRN을 1주 간격으로 2회와 매일 1시간씩 2주 동안 미세전류치료를 병합한 군으로 각각 배정하여 2주 후 근육의 재생 정도를 육안적·조직학적 소견, 초음파를 통한 근육 두께의 영상학적 소견 및 근전도를 통한 근육의 기능검사를 비교했다.
그 결과 실험군(2, 3, 4군)이 대조군(1군)에 비해 탁월하게 근육이 재생되었고, PDRN과 미세전류치료의 병합을 시행한 4군에서는 모든 지표에서 2군과 3군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4군은 조직학적 소견의 혈관 신생 지표 값에서 1군, 2군, 3군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낸 것이 확인됐다.
권동락 교수팀은 이러한 치료 효과의 기전은 아데노신(Adenosine) A2A 수용체를 통해 PDRN이 손상된 회전근개 힘줄에 재생을 위한 신생 혈관을 만들고 단백질을 생산해내는 것으로 생각했으며, 미세전류는 VEGF(혈관내피 성장인자)와 ATP(adenosine triphosphate: 아데노신 3인산)에너지를 통해 회전근개 힘줄의 재생을 상승시킨 것으로 생각했다. 또한, 본 실험 결과 PDRN과 미세전류치료에서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아 안전한 치료법으로 판단했다.
권동락 교수는 “대한신경근골격초음파학회에서 좋은 상을 수상해 기쁘다.”며 “실험 결과를 토대로 임상 실험을 시행할 예정이며, 임상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면 골절로 인한 깁스나 수술 후 근육위축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ysd9911@@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연욱 의원 “특검을 특검하라”…양평군 공무원 사망 사건에 특검 책임 물어
- [심우일의 인생한편] 사라진 얼굴과 자기기만의 세계
- [문화 4人4色 | 김춘학] 이야기가 끓는 도시, 군산
- 경주시, ‘2025 경주국가유산야행’ 9만 명 다녀가며 성황리 마무리
- 영천시 스마트도시통합센터,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스마트 선별관제시스템’ 본격 운영
- 포항시, 추석 연휴 16만 명 찾아 북적 …체류형 관광도시 가능성 입증
- 포항시, ‘2025년 미(美)&미(味) 페스타’ 11일 개막
- 포항시, 지열발전부지 ‘심부지진계 재설치’ 앞두고 주민설명회 개최
- [김천시 기획] 같이 만드는 가치, 모두가 주인 되는 아포
- 영천시 임고면, ‘2025년 가을음악회 및 주민자치 발표회’ 성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70대가 20대 청년층 첫 추월…4년째 감소세
- 2인천공항, 추석 연휴 이용객 역대 '최다'…"일평균 21만7000명"
- 3전국 대체로 흐리고 경상권·전라동부·충청권 '비소식'
- 4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판결 86%, 위험성평가 미이행
- 5SK, 글로벌 AI 생태계 미래 제시…SK AI 서밋 개최
- 6CU, '갈릭 립아이 스테이크' 활용한 간편식 선봬
- 7트럼프, 美 정부 셧다운…"군인 급여 지급 계속"
- 8트럼프, ‘가자 정상회의’ 주재…20개국 정상 참석
- 9내주 1937가구 분양…"연휴 후 숨고르기"
- 10MBK·두나무·신협…금융社 수장 국감장 줄소환
댓글
(0)